Eclipse Forms를 이용해서 애플리케이션에 웹 효과를 내는 방법을 설명하는 글입니다.
자바로 만든 프로그램이 이렇게 쓸만한 UI를 가지게 되는게 이클립스 덕이 아닐까합니다. 엄밀히 말하면 운영체제의 네이티브 UI와  같은 룩앤필을 제공해주는 Standard Widget Toolkit(SWT)[각주:1] 덕이겠죠.


원문 : Eclipse Forms로 애플리케이션에 새로운 활력을 (한글)

Eclipse Forms를 사용하여 Eclipse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임베디드 브라우저를 사용하지 않고 애플리케이션에 "웹과 같은" 효과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본 기술자료에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 툴킷으로서의 Eclipse Forms를 간략히 소개하고, 사용하기 쉬운 예제도 제공합니다.

배경

Eclipse Forms란 무엇인가? 이 질문에 답을 하기 전에, Eclipse Forms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도록 하겠다. 여러분은 Eclipse에 플러그인을 구현해 본 적 있는가? 그렇다면, 이것이 다음과 같은 깔끔한 UI라는 것을 아마 알 수 있을 것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Hello world 예제

본문에서 Eclipse Forms로 구현한 Hello World 예제입니다. 어떤 언어를 배우든 일단 Hello World부터 ^^
  1. Eclipse의 구현 기반입니다. SWT는 다양한 플랫폼에서 실행됩니다. [본문으로]
 이번엔 제가 잘 사용하지 않아서 잘 모르는 내용을 소개하려 합니다. IBM DB2에서 Ruby on Rails 개발 환경을 설정하고 사용하는 법 입니다. 제가 주로 Oracle DBMS를 사용하는터라 DB2를 배우고 싶긴한데 시간이 잘 안 나네요. ^^;
 루비도 책 한권 사놓고는 제대로 보지도 못했습니다. 에휴... 빨리 공부 해야할텐데...
아무래도 스키 시즌 지나가기 전에는 책보기 힘들듯 합니다.

원문 : DB2와 Ruby on Rails, Part 1: DB2와 Ruby on Rails 시작하기 (한글)
두 명의 DB2 전문가와 두 명의 소프트웨어 엔지니어가 이 글의 저자입니다.

Part 1에서는 DB2 설치, Rails 설정 등의 기본적인 작업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2007 년 7 월 24 일

Ruby 언어의 등장과 강력한 Rails 프레임웍의 결합으로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수 많은 기회들이 생겼습니다. IBM_DB 어댑터와 드라이버의 도입으로, Rails 애플리케이션들은 이제 IBM 데이터 서버들과 완벽하게 상호 작동 할 수 있습니다. DB2®와 Ruby on Rails 시리즈를 시작합니다. DB2 on Rails용 Starter Toolkit를 소개하고, IBM_DB 드라이버를 설치하는 다양한 방법과 DB2로의 Rails 마이그레이션을 설명합니다.

머리글


2004년 출시된 Ruby on Rails는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사용되는 가장 대중적인 프레임웍으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Rails 또는 RoR로 알려진 이 오픈 소스 프로젝트는 Model-View-Controller (MVC) 아키텍처, Ruby 객체 지향 스크립팅 언어, "convention over configuration"과 "don't repeat yourself" 같은 단순한 원리를 사용한다. 개발자들은 중복이 적은 코드와 설정 파일을 사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을 더욱 빠르고 쉽게 구현할 수 있고, 애플리케이션의 필요를 채울 수 있는 커스텀 확장을 구현할 수 있는 유연성도 있다. 데이터베이스 영속성에 대한 지원으로, 이 프레임웍을 사용하는 웹 애플리케이션들은 데이터베이스 서버와 빌트인 WEBrick 웹 서버를 사용하여 개발될 수 있다.




 어쩌면 이건 별 일 아닐지 모르지만, 직업이 개발자라 그런지 한번 씨익 웃게 만드네요.
JSP에서 엑셀 파일을 업로드 받아서 그 내용을 DB에 입력하는 기능이 필요해서 한번 검색 해봤더니 Apache POI Project가 뜨더군요.

 홈페이지에 가면 아래와 같은 문구가 손님을 맞이합니다.
Apache POI - Java API To Access Microsoft Format Files

The POI project is the master project for developing pure Java ports of file formats based on Microsoft`s OLE 2 Compound Document Format. OLE 2 Compound Document Format is used by Microsoft Office Documents, as well as by programs using MFC property sets to serialize their document objects.

대충 뜻을 풀어보니 MS의 Office File format에 접근하기 위한 API인것 같습니다.
프로젝트 홈페이지 주소는 http://poi.apache.org입니다.

음... 그래서 POI API 문서를 봤더니요...

HPSF - Horrible Property Set Format
HSSF - Horrible Spreadsheet Format
HWPF - Horrible Word Processor Format
영어사전     horrible
        1. 무서운, 끔찍한, 소름 끼치는(hideous)
        2. 《구어》 소름 끼치도록 싫은;지독한, 지겨운

내용의 신뢰성을 생각해서 단어의 뜻을 네이버 사전에서 찾았습니다.
ㅋㅋ
Horrible Word Processor Format이라...
 이번에는 지난 달에 소개한 오픈 소스 라이선스 길잡이의 두번째 글을 소개하고자합니다.
소프트웨어 개발자라면 누구나 한번쯤은 생각해봤을 라이선스 관련 문제에 관해서 알려주는 글입니다.
각종 라이선스에 대한 설명과 라이선스 관련 실례를 알려주고 있습니다. 스카이프도 라이선스 관련 문제가 있었더군요.

원문 : 초보 개발자를 위한 오픈 소스 라이선스 길잡이 Part 2: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와 라이선스의 이해

 아래는 원문의 서문입니다.

웹 2.0으로 대두되는 인터넷 환경의 패러다임 변화에 있어서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의 영향력은 그 누구도 부인하지 않을 것이다. 많은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가 웹 2.0을 가능하게 했던 원동력이며, 지금도 수많은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가 우리의 인터넷 세상을 점점 풍요롭게 바꿔가고 있다.
가트너에 따르면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의 시장점유율은 2005년 11%(42.6억 달러)에서 2010년에는 24%(161.5억 달러)로 28.5%의 성장할 것이며,  2010년까지 적어도 상용 소프트웨어 제품의 80%가 오픈 소스 코드를 포함하게 될 것이라고 한다. 그 외에도 디지털 기기에 포함된 임베디드 소프트웨어를 중심으로 많은 하드웨어에서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지 않고서는 제품 단가를 맞출 수 없을 정도로 그 사용범위도 점점 더 확대되고 있다.
문제는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사용이 이처럼 늘어남에 따라 이로 인한 분쟁도 점차 늘어나고 있다는 것이다. 즉, 우리가 공짜로 사용해도 되는 것으로 알고 있는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들은 거의 대부분 지적재산권으로 보호받고 있다. 이러한 지적재산권이 있는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려면 일정한 사용 조건을 담은 라이선스를 만들고, 이러한 라이선스에 따라 소프트웨어를 사용해야 한다. 만약 조건을 위반하여 사용하면 라이선스 위반으로 법적 제재를 받는다. 그러나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에서 제시하는 라이선스의 조건들이 어려운 것이 아니므로 조금만 주의를 한다면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를 통해 제공되는 훌륭한 소스코드들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를 자유롭고 안전하게 사용하기 위해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에서 제시하는 라이선스라는 것이 무엇이고 이것이 어떤 법적 구속력이 있으며, 마지막으로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에서 제시하는 라이선스와 그 준수사항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수십가지... 아니 수백가지 신기술로 무장한 Oracle 10g가 등장하였지만 아직 9i 버전에서 벗어나지 못한 제게는 충격적인 사건이 벌어졌습니다.
Oracle 11g 등장, 두둥~!!

 Oracle Database 11g 홈페이지

Oracle Database 11g가 제공하는 혜택이 아래와 같습니다:

  • Real Application Testing을 통해 새로운 테크놀로지를 보다 신속하게 적용할 수 있습니다.
  • 고급 압축, 파티셔닝 기능을 이용하여 더 많은 데이터를 보다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 Oracle Fast Files를 이용하여 오라클 데이터베이스에 모든 데이터를 저장하고 시스템을 단순화할 수 있습니다.
  • Data Guard의 최신 기능을 이용하여 재해 복구 리소스의 ROI를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 관리 환경의 자동화를 통해 핵심 운영 인력이 보다 전략적인 업무에 집중할 수 있게 합니다.
  • 그 밖에도 매우 다양한 혁신적 기능이 제공됩니다.


 또 다시 배워야할 신기능들... 이런...
"오라클 데이터베이스의 새 버전이 나올때마다 눈앞이 캄캄하다"는 모 강사님의 말이 피부로 느껴집니다.
아직 10g에 대해서도 잘 모르는데 11g라니...
열심히 해야 겠네요.
 이번엔 IBM DeveloperWorks[각주:1]의 웹 개발 관련 자료 중에서 [Ajax와 XML: 라이트박스(lightbox)용 Ajax] (Ajax 기술을 사용하여 라이트박스, 팝업, 윈도우, 페이더(fader) 만들기)라는 글을 소개합니다.

 이  문서는 자바스크립트 라이브러리를 이용해서 동적인 웹 프로그램을 만드는 법을 알려줍니다. 이미지를 같은 화면 내에서 크게 보여주는 법이나 툴팁을 보여주는 등의 현재 여러 서비스에서 쓰고 있는 기능들을 구현하는 법을 실제 예제와 소스 코드로 설명하고 있어서 당장 뭔가를 만들어 내야하는 개발자에게 유용할 거라고 생각합니다.

원문 : Ajax와 XML : 라이트박스(lightbox)용 Ajax

모든 것이 놀랍고 매력적인 요즘, 사용자들의 관심을 끌기란 어려운 일입니다. Ajax 툴과 Lightbox, 팝업, 윈도우, 페이딩(fading) 메시지 같은 새로운 기술을 사용하여 사용자의 관심을 끌어봅시다.


아래 이미지는 본문의 일부입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위의 이미지 처럼 한눈에 들어오는 예제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보기 좋죠?
  1. IBM DeveloperWorks란 개발자들을 위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개발자 커뮤니티입니다.
    www.ibm.com/developerworks/kr [본문으로]
 남북전쟁을 승리로 이끌어 흑인 노예 해방을 이룬 훌륭한 대통령으로 알려진 링컨에 대한 얘기입니다. 저의 경우에는 어차피 링컨이 북군의 승리를 위해서 노예 해방을 선언했었다고 믿었기에 새로울 것도 없었지만, 기존의 좋은 이미지로만 링컨을 기억하셨었던 분들에겐 조그만 반전이 기다리고 있습니다.

[Flash] http://dory.mncast.com/mncHMovie.swf?movieID=10046812220071030182937&skinNum=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