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 첫번째 IBM DW Bloger 활동이 되겠네요. 지난번에 이어서 Eclipse를 이용한 웹 개발에 관련된 문서를 소개하려고 합니다. 지난번엔 J2EE 개발에 이용하는 법이었고, 이번엔 PHP 개발에 사용하는 방법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원문 : 이클립스 유로파로 웹 개발하기, Part 2: PHP 개발 도구 (한글)

웹 개발자가 어떤 기술을 결합하여 사용하는지에 상관없이 이클립스는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최고의 통합 개발 환경(IDE)입니다. 3회 연재인 "이클립스 유로파로 웹 개발하기" Part 1에서 최신 이클립스 유로파로 자바 웹 애플리케이션을 신속하게 개발할 수 있는 방법을 다뤘습니다. Part 2에서는 PDT(PHP Development Toolkit)라 알려진 이클립스 플러그인의 다른 세트를 사용하여 얼마나 쉽게 PHP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는지를 살펴보겠습니다.

시작하기에 앞서

여 러분은 PHP 개발자인가? 그렇다면 개발 환경에 무엇을 사용하는가? vi 대 emacs 토론에 끼어들기 좋아하는 최소주의자(minimalist)일지도 모른다. 또는 IDE를 선호하나 상용 도구엔 관심이 없을 수도 있다. 어쨌든 이클립스용 PDT에 대한 관심은 높을 것이다. 그렇다. 이클립스다. 이는 더 이상 자바 개발자에만 국한된 얘기가 아니다. PHP 프로그래밍에 대한 기본 지식을 가지고 있어야 본 튜토리얼을 이해할 수 있다. 이클립스 IDE에 익숙하면 도움이 되지만 꼭 필요한 것은 아니다. 이클립스에 대한 배경 정보를 더 원한다면 참고자료를 보기 바란다.

본 연재에 대해

본 "이클립스 유로파로 웹 개발하기" 연재를 통해 어떤 언어를 선택하든 웹 개발에 이클립스가 최적의 플랫폼이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클립스의 유연한 플러그인 시스템은 자바 기술, PHP, 루비(Ruby)로 웹 개발을 하는 데 있어 맞춤화된 이클립스 버전을 쉽게 만들 수 있도록 해 준다. 각기 다른 플러그인을 통해 이클립스가 각 언어에 독특한 능력을 갖게 한다는 것을 알 수 있고 모든 웹 개발자가 활용할 수 있는 공통 기능에 대해 살펴볼 수 있다. 본 연재를 통해 야구 선수의 경기 데이터에 접속하고 샘플로 그 선수들의 경기 통계를 계산할 수 있는 야구 웹 애플리케이션을 만들 것이다.




 아래 내용은 구글, 네이버 등의 사이트에서 검색한 내용중에서 실제로 적용이 되었던 내용입니다. 물론 실제로 적용이 되었던 환경은 리눅스가 아니라 SUN 장비에 Solaris 9 이였습니다.64비트 CPU였구요. 하지만 리눅스 서버에서도 잘 되리라 생각합니다.


-----------------------------------------------------------------------------------------------

운영체제 : RedHat Linux 9
DBMS : Oracle 9i


1. 문자셋 확인

 SQL>select * from v$nls_parameters where parameter like '%CHARACTER%';


2. 문자셋 변경

 SQL>STARTUP MOUNT;
 SQL>ALTER SYSTEM ENABLE RESTRICTED SESSION;
 SQL>ALTER SYSTEM SET JOB_QUEUE_PROCESSES=0;
 SQL>ALTER SYSTEM SET AQ_TM_PROCESSES=0;
 SQL>ALTER DATABASE OPEN;
 SQL>ALTER DATABASE CHARACTER SET [UTF8];  // [변경하고자 하는 문자셋] ,AL32UTF8
 SQL>SHUTDOWN IMMEDIATE;
 SQL>STARTUP;


 

 ORA-12712 ; new character set must be a superset of old character set

 해당 메세지의 경우 문자셋 변경이 어렵다.


 위와 같은 메세지가 나오는 경우 기존 오라클 인스턴스를 삭제 후

 $ORACLE_HOME/bin/dbca 를 실행하여 새로운 인스턴스를 만드는 것이 추천 방법이다.


 ※ 언어가 문자셋을 말하는 것은 아니다.


NLS_LANG=KOREAN_KOREA.KO16KSC5601

다양한 웹 개발 기술이 소개되고, 다양한 개발 툴이 소개되고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이클립스는 JAVA, C/C++, PHP, Ruby 등의 다양한 언어를 지원하는 IDE죠. 그리고 이젠 단순한 IDE를 넘어서 개발 프레임웍으로서 발전하고있습니다.
최근에 IBM에서 발표한 심포니라는 오피스 프로그램이나 제가 예전에 소개한 Arzureus라는 프로그램도 이클립스 프레임워크를 바탕으로 개발된 프로그램입니다. 점점 더 사용처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입니다. 아직은 좀 무겁지만 점점 기대됩니다.

 이번에 소개하는 문서에서는 이클립스 최신 버전인 이클립스 유로파를 웹 개발에 이용하는 법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Eclipse europa, Apache Tomcat, MySQL, JPA에 관한 설정방법 및 간단한 개발 샘플을 보여줍니다.

원문 : 이클립스 유로파로 웹 개발하기, Part 1: 이클립스를 위한 Java EE (한글) (부제 : 자바 기술, PHP, 루비를 사용하여 웹 개발을 할 때 이클립스 유로파를 사용하는 방법)


본 Part 1에서는 자바 웹 개발에 이클립스 Java EE를 사용하는 방법을 다룰 것이다. 먼저 이클립스를 사용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연결하고 테이블을 만들고 데이터베이스에 테스트 데이터를 만드는 방법을 다룰 것이다. 웹 서버를 사용하도록 이클립스를 설정하고 이클립스 마법사를 사용하여 웹 애플리케이션, 웹 페이지, 데이터 접근 코드를 만드는 방법을 다룰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클립스를 사용하여 웹 서버를 제어하고 애플리케이션을 발행하고 서버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서 이를 디버그하는 방법도 다룰 것이다.



 Tomcat clustering 관련 문서에 이어서 Eclipse에서 변화관리를 위해 Subversion을 사용하는 법에 관련된 문서를 소개하려합니다.

 변화 관리라 하면 CVS라는 이름이 널리 알려져있었습니다. Eclipse[각주:1]에서도 CVS관련 기능이 있죠. 이 문서에서는 Subversion이라는 새로운 변화관리 시스템을 Eclipse에서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Apache software foundation에서 진행중인 많은 프로젝트들이 Subversion을 이용하고 있죠. 이런 프로젝트에 Eclipse를 이용하는 방법을 알려줍니다.

원문 : Eclipse에서 Subversion을 사용하는 방법 (한글) (부제 : 쉬워진 통합)
이 문서는 IBM DeveloperWorks의 오픈소스 관련 문서들 중에서 하나입니다.


변화 관리(change-management) 기능에 액세스 하기 위해서, Eclipse는 처음부터 Concurrent Versions System (CVS)과 완벽한 통합을 도모했습니다. 이제, Apache Software Foundation에서 운영하는 많은 프로젝트들은 Subversion이라고 하는 변화 관리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Subversion 저장소를 사용하는 프로젝트에 Eclipse를 사용하는 방법을 배워봅시다.


Eclipse는 대중적인 오픈 소스 변화 관리 시스템인 CVS에 대한 지원을 통합해 왔습니다. CVS의 기능과 그 한계는 잘 알려져 있지만, 많은 그룹들은 더 나은 확장성, 변화 합병 및 버전 브랜칭(branching) 지원, 바이너리 파일 포맷 지원을 제공할 수 있는 다른 버전 관리 시스템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Subversion (SVN)은 CVS를 대체하는 것으로서, 향상된 성능(지능형 로컬 캐싱과 데이터베이스 백엔드 중심), 쉽고 빠른 브랜칭(branching), CVS 사용에 따른 단점 향상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Eclipse에 Subversion 지원을 추가하는 방법과 IDE에서 기본적인 버전 관리를 수행하는 방법을 배워봅시다.

시작하기 전에

Eclipse를 다운로드 하여 설치해야 한다. 자신의 플랫폼에 맞춰 Eclipse SDK를 다운로드 하면 기본 Eclipse IDE(Eclipse Platform)과 Java™ Development Kit이 생긴다. C/C++로 작업하려면, C Development Tooling (CDT) 웹 사이트를 방문하여, 업데이트 매니저를 사용하여 CDT를 설치하라. (업데이트 매니저 사용 방법은 다음 섹션에서 설명한다.)

또한, Subversion 저장소에 액세스 해야 한다. 한 가지만 설정해야 한다면 Subversion 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문서를 참조하라. 데모용으로 Subclipse 프로젝트를 검사하고, 필자의 LAN의 저장소에서 프로젝트로 작업하는 방법을 보여 줄 것이다.





  1. Eclipse에 대한  정보는 [Eclpse 개발자를 위한 프로젝트 정보]를 참조하세요
    Eclipse project homepage : http://www.eclipse.org [본문으로]
이번에도 [Open DeveloperWorks][각주:1]에서 톰캣 클러스터링에 관련된 글을 소개합니다.
지난번에 소개한 내용에 이어서 톰캣 세션 클러스터링 관련 글입니다.

원문 : [Open DeveloperWorks] 테라코타를 이용한 톰캣 세션 클러스터링


자주 바뀌는 GUI일수록 단위 테스트가 필요하다

지난 “아파치와 톰캣을 활용한 대용량 웹서비스 운영” 기사가 나간 이후로 많은 독자들의 문의를 받았다. 사실 아파치와 톰캣을 연동한다는 것은 이미 많은 자료와 웹 사이트에 소개된 바 있고 점점 더 손쉽게 이를 적용할 수 있도록 톰캣이 발전하고 있다. 하지만 대용량 서비스를 위해서는 단순한 연동뿐만 아니라 로드밸런싱, 클러스터링 및 서비스에 대한 자원 사이징 그리고 모니터링 등 다양한 방식의 접근이 필요하다. 이번 기사에서는 이 중에서 클러스터링에 대하여 좀더 고민해 보겠다.


  1. IBM DeveloperWorks에서 전문가의 글을 단순히 보는 단계에서 벗어나 스스로가 필자가 될 수 있습니다. 오픈 디벨로퍼웍스에 관심을 가져보세요. 채택되신 분들께는 소정의 원고료도 지급된다고 합니다. 저는 아직 능력이 안되서리...
    필자 지원하기
    [본문으로]
새해들어서 처음으로 소개하는 DW Blogger review입니다. ^^
복 많이들 받으셨나요?

 이번에는 [Open developerWorks]의 문서를 소개하려고 합니다. JAVA 개발 자들에게 친숙한 아파치 톰캣에 관한 내용인데요. 톰캣을 이용해서 대용량 웹서비스를 운영하려는 사람에게 필요할것은 문서입니다.

흔히들 자바웹서비스 개발을 시작할떄 책에서 많이 접하는 톰캣은 실제로 대용량 서비스에는 잘 사용하지 않습니다. 웹로직, 웹스피어, 제우스 같은 WAS를 많이 사용하죠. 그런데웹서비스에 사용할 서버의 숫자가 수십에서 수배개 정도가 된다면 구매 및 유지보수 비용이라는 거인을 만나게 됩니다. 수천에서 억단위로까지 넘어가는 견적서를 보게되면... 눈물이 앞을 가리죠.
 그래서 아래의 문서를 소개하려합니다. 실전에서 바로 사용할 수 있을지는 잘 모르겠지만, 길을 제시해주고 있네요.

원문 : [Open developerWorks] 아파치와 톰캣을 활용한 대용량 웹서비스 운영


웹 개발자에게 있어 톰캣은 JSP를 배우거나 간단한 테스트를 하는 정도의 웹 컨테이너로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근래 들어 기업 및 대형 포탈에서 상용 서비스를 위한 웹 컨테이너로서 톰캣을 선택해, 성공적으로 적용한 사례들이 늘고 있다. 톰캣에서 안정적인 웹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지원하는 기능은 5가지가 있다. 아파치 웹서버와 연동, 로드밸런싱, 세션 클러스터링, 데이터베이스 처리, 모니터링 및 관리 등이 그것이다.
이 문서에서는 로드밸런싱과 세션 클러스터링 위주로 설명을 할 것이며, 다음에 기회가 된다면 다른 부분에 대해서도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