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OqynQX3gVz0_QcF16svVOdb_B0bY6IcdGWU77GNOT8,

 저희 회사에 Tibero TAC(Tibero Active Cluster)가 도입되었다는건, 이전의 제 글들을 보신 분이라면 아실겁니다. 국산 DBMS 시장에 여러가지 제품이 출시되어 있지만, Oracle RAC처럼 Shared disk 방식으로 구현한 Active-Active 형태의 Cluster 제품은 Tibero TAC가 처음이죠.

 현재 TAC를 사용중인데 편한 점부터 얘기를 해볼까합니다.

 우선 서비스 중단 없이 OS, DBMS 등의 패치 및 점검 작업 등을 할 수 있다는 점이 아주 편하다고 생각합니다. 각 노드를 번갈아가면서 재부팅하는 작업을 해보니 꽤 편하더군요. ^^  그리고 한쪽 노드에 부하가 몰려있을때라도 좀 한가한 나머지 노드에 접속하여 Data 조회, 조작 작업을 할 수 있는 가용성. 확실히 Cluster의 장점이 아닐까요?

 이제, TAC 제품의 단점을 얘기해볼까 합니다.

첫째, 원인을 정확하게 알 수 없는 성능 저하 현상 발생.
Storage와 OS 등의 제품들과 엮여서 딱히 어느 곳이 문제인지 알 수 없는 성능 저하 현상이 발생합니다. 그것도 자주!
벌써 몇달째 고생중인 문제인데요. 현재 원인 규명 작업을 진행중인데 쉽게 해결될것 같지가 않습니다.

둘째, 이기종 DBMS와의 data 공유가 어렵다. DBMS 자체가 이기종 DBMS와의 data 공유가 어렵다는건 티베로 만의 문제는 아니긴 한데, Data 공유를 위한 솔루션(ETL, DB복제툴 등)에서 티베로를 거의 지원하지 않는다는게 문제입니다. TmaxData에서 나온 제품만 지원하고 있죠. DB복제툴은 Oracle이외의 DBMS는 제대로 지원하지 않고, ETL tool의 경우에는 다양한 DB를 지원하지만 실시간 동기화(2, 3분 이내)에는 적절하지 않더군요.
Oracle과는 JAVA Gateway를 이용해서 처리할 수 있는데, 현재는 어느정도 해결이 되었지만 이 부분이 그동안 문제가 많았었죠. 프로세스가 정상 종료되지 않고 남아서 성능을 떨어뜨리는 현상을 일으켰는데, 현재는 Tibero 패치를 통해서 해결이 되었습니다. 뭐, Oracle과는 어느정도 해결이 된다고하지만 그 외의 DB와는 아직 문제가 많습니다. MS-SQL과는 Openquery를 통해서 select만 가능합니다. MS-SQL Gateway를 이용해서 data 공유가 가능하다고 하는데, 별로 권장하지 않는다고합니다. 그래서 좀 고민이 되는 부분입니다. 



 가장 유명한 리눅스 배포판 중에 하나인 SLES(Suse Linux Enterprise Server)와 RHEL(Red Hat Enterprise Linux)를 비교한 글입니다. 특이한 점이라고 한다면 IBM의 System p에서의 SLES, RHEL에 대한 글이라는 겁니다. x86 이외의 CPU에서의 Linux에 대한 글이 흔하지 않아서 소개하게 되었습니다.
 System p는 보통 AIX 운영체제하에서 사용해본 분들이 많이 있을거라 생각합니다. 저도 예전에 근무했던 직장에서는 강력한 성능과 가상화 기능 등을 이용하여 DBMS, WAS 등을 운영했었습니다. 그 중에 한 서버에는 도입시에 SLES 9 설치 CD가 끼어 있더군요. 한번 설치해보는건데... 아쉽네요. 결국 저도 System p에서는 AIX 이외의 운영체제를 설치 및 운영해본 경험은 없습니다. 그래서 더 흥미가 생겼구요. 한번쯤 읽어보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원저자 : Ken Milberg, 대표와 컨설턴트, 기술 편집자, 지역 전문가, techtarget.com

원문 : IBM System p에서 SLES(SUSE)와 RHEL(Red Hat) 비교

소개

LoP(Linux on POWER)는 APV(Advanced Power Virtualization) 및 IBM System p5®와 함께 2005년에 출시되었다. 이 제품의 출시로 인해 IBM System p® 아키텍처 사용자는 Linux를 변경 작업 없이 IBM의 LPAR(logical partitioning) 기술 위에 설치할 수 있었다. 따라서 IBM의 UNIX® 브랜드인 AIX®처럼 IBM의 Linux 브랜드인 System p에서도 가상화 기능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기능에는 마이크로파티셔닝, VIOS((Virtual IO Server) 및 지원되는 고급 레벨 기능(예: CoD(Capacity on Demand))이 포함된다. Live Partition Mobility와 같은 Power6의 혁신적인 최신 기능에 의해 지원되기는 하지만 이러한 기능을 사용하면 System p 서버 간에 중단 시간 없이 워크로드를 동적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전용 용량을 공유하여 예비 프로세서 주기의 사용을 최적화할 수 있다.

LoP 사용자는 PowerVM™의 혁신 기능을 알아야 한다. 과거에 System p AVE라고 불렸던 이 기능의 현재 이름은 PowerVM Lx86이다. PowerVM Lx86은 애플리케이션의 네이티브 설치 없이 POWER6™, POWER5+™ 또는 POWER5™ 프로세서가 탑재된 System p 또는 BladeCenter® 모델에 대부분의 32비트 x86 Linux 애플리케이션을 설치 및 실행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 기능은 POWER™ 프로세서 기반 시스템에서 실행되는 x86 Linux 애플리케이션 환경을 구축한 후 동적으로 x86 명령어를 Power Architecture® 명령어로 변환하고 캐싱하여 성능을 향상시킨다. 또한 x86 Linux 시스템 호출을 LoP 시스템 호출에 맵핑한다. 이 솔루션의 고유한 특징은 네이티브 포팅 또는 애플리케이션 업그레이드 없이도 대부분의 x86 Linux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기능은 SLES와 RHEL에서 모두 지원된다.

하지만 Red Hat 및 Novell 배포판이 둘 다 IBM System p에서 지원되는가? 물론 두 배포판 모두 지원된다. 하지만 주의해야 할 몇 가지 기본적인 차이점이 있다. Linux 배포판을 다른 Linux 배포판으로 이동하는 대규모 프로젝트에 참여한 프로젝트 관리자로서 필자는 이 의사 결정을 위해 고려해야 할 중요한 요소를 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요소에는 사용자에게 GUI가 얼마나 중요한지, 배포판 벤더에게서 받고자 하는 지원의 종류 및 각 배포판의 시장 점유율 등이 있다. 의사 결정을 돕기 위해 볼륨 그룹 관리 및 물리적 볼륨을 논리적 환경에 할당하는 작업과 관련된 내용을 살펴보자.


 통계학개론 리포트를 작성하던 중, OpenOffice.org의 calc에서 이상한 점을 발견했습니다. A, B열의 data를 가지고 그래프와 표준편차를 구하는 함수로 계산된 결과를 보니 뭔가 맞지 않는다는 느낌이 들었었습니다. 열 건 정도 되는 Data를 눈으로 봐도 B의 표준편차가 적을텐데, 결과가 반대로 나오더군요. 해당 함수를 다시 확인해봤는데, 오타는 없었습니다.
=STDEV(A1:A10)
=STDEV(B1:B10)
위의 함수였거든요.
어쩔수 없이 MS Excel에서 돌려보니 제가 예상한 결과가 나오네요. 한글 OpenOffice.org 3.2의 버그인지 아니면 제가 옵션같은걸 잘못줬는지 모르겠습니다. 암튼 리포트 제출은 했지만 뭔가 찜찜한게...
 그동안 MS Windows 7에 Oracle client를 설치하려면 설정 파일을 수정해줘야만 했었습니다. 각종 블로그에 설치하는 방법이 올아왔었죠. 문제는 그렇게 해줘도 일부 설치가 안되는 PC가 생겼으며, 당연히 Oracle의 공식적인 지원이 없었기에 안 되는 사람은 어쩔수 없이 Windos XP로 돌아가거나, Windows 7 재설치라는 악수를 둘 수 밖에 없었습니다.

 이번에 Oracle 11g R2의 Windows 버전이 출시되었습니다.
OTN에 Oracle 11g R2 다운로드 페이지 (지난번에 제가 64비트 버전은 링크가 깨져있다고 했었는데, 이번에는 잘 들어가집니다. 다운로드 받아야 겠네요. ^^)

 위의 웹 페이지에서 Windows 버전을 다운로드 받으면 MS Windows 7에 정상적으로 설치됩니다. 물론 Oracle 9i 및 10g client를 설치하면 사용할 수 있었던 Enterprise Manager는 메뉴에서 사라졌네요.(11g R1에서부터 없어졌었나요? 11g R1을 설치해보질 않아서 확인을 못했습니다.) 그 외에는 잘 됩니다.

 한국 IBM DeveloperWorks에 올라온 글 중에서 [오픈 소스 클라우드 분석]이라는 글을 소개합니다.
이 글은 요즘 구글, IBM, MS, 아마존 등에서 시장 선점을 하려 애쓰는 클라우드 컴퓨팅을 오픈소스로 구현된 프로그램들을 이용해서 설명하고 있습니다. 많이 알려진 Xen이나 KVM 등도 거론되고 있네요.
기본적인 가상화에 대한 설명과 클라우드 시스템에 대한 내용이 담겨있습니다. 상세한 설치 및 운영에 대한 내용을 기대하신다면 실망하실 수 있습니다. 개념만 알아본다고 생각하시길...

원문 보기 : 오픈 소스 클라우드 분석 (부제 :  I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를 위한 빌딩 블록)

요약: 이제 더 이상 신생 기술이 아닌 클라우드 컴퓨팅은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고 개발하는 방법을 근본적으로 바꿔 놓은 유용하고 중요한 기술입니다. 예상대로 Linux®와 오픈 소스가 클라우드의 기반(공용 및 개인용 인프라를 위한)을 제공합니다. 이 기사에서는 클라우드, 클라우드의 아키텍처 및 이러한 동적이고 확장 가능한 컴퓨팅 및 저장소 플랫폼을 개발하는 데 사용된 오픈 소스 기술에 대해 자세히 설명합니다.

 필자소개
M. Tim Jones는 임베디드 펌웨어 아키텍트이자 Artificial Intelligence: A Systems Approach, GNU/Linux Application Programming(현재 2판), AI Application Programming(현재 2판) 및 BSD Sockets Programming from a Multilanguage Perspective의 저자이다. 정지 위성을 위한 커널 개발에서 시작해 임베디드 시스템 아키텍처와 네트워크 프로토콜 개발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에 대한 공학 지식을 가지고 있다. 콜로라도주 롱몬트 소재의 Emulex Corp.에서 컨설턴트 엔지니어로 활약하고 있다.


 
 아래는 최근에 읽은 클라우드 관련 서적입니다. 좀 오래된 내용들이 포함되어 있긴하지만 클라우드 컴퓨팅이 어느정도까지 왔는지를 알아볼 수 있습니다.
클라우드의 충격
카테고리 컴퓨터/IT
지은이 시로타 마코토 (제이펍, 2009년)
상세보기


  작년말에 한창 문제가 되었던 내용입니다.
저희가 운영하는 Oracle DB 중에서 Tibero로 이전하는 DB가 있었습니다. Tibero에서 Oracle로 Gateway(Tibero에서 제공한 Gateway)를 이용해서 Database link를 만들어서 일반 DB Link 이용하듯이 쓸 수 있어서 좋았는데, 문제는 Oracle DB에 있는 기준 정보들이 변경되었을때 이를 Tibero에 적용시킬 방법이었습니다. Oracle에서는 현재 Tibero로 DB Link를 지원하지 않으므로 Oracle측에서 변동내용이 있을때 Data 동기화 작업을 위해서 Tmax Prosync라는 제품을 이용하였습니다.

* Tmax Prosync
[Oracle to Tibero Prosync], [Tibero to Oracle Prosync]가 있는데, [Tibero to Oracle Prosync]는 시스템에 부하를 많이 주는 문제가 있어서 제외하고 [Oracle to Tibero Prosync](이하 Prosync)만 사용하기로 했었습니다.
 Prosync는 Oracle의 로그마이너를 이용하여 테이블의 변동 내용을 알아내고, 이를 로그 파일로 저장한뒤에 Tibero측에 insert, update, delete 문장을 보내서 실행시키는 구조입니다. 그래서 Oralce DB에서도 필요한 설정을 했죠. (알고 계시겠지만 Supplemental Logging 설정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실제 구축을 했었죠. 그런데 실제로 사용하는 중에 문제가 생겼습니다.

* 문제
 일부 테이블은 몇개의 컬럼이 빠진채로 변경 내용이 감지 되어서 Tibero측에 정상적인 쿼리문이 보내지지 않더군요.

* 원인 및 해결 과정
 TmaxData의 여러 엔지니어가 와서 이 문제에 달려들었었습니다. 결국 마지막에 밝혀낸건 Oracle logminer의 버그라고 하네요. 10g 버전에서는 해결이 되었다고 합니다. 10g를 사용하는 곳은 이상없이 사용 가능하실테고, 저희처럼 9i를 사용하는 곳은 문제가 되네요. Function Based Index가 생성되어있는 테이블은 Logminer에서 비정상적으로 인식을 해서 변경 내용을 정상적으로 감지 하지 못하더군요. Function Based Index를 제거하니까 바로 정상적으로 인식하더군요.
 해당 인덱스를 살펴보니 실제로 쓰이지는 않는 인덱스이더군요. (왜 만들었는지... 제가 입사하기전에 만든거라 왜 만든건지, 누가 요청한건지를 모릅니다.) 그래서 해당 인덱스를 일반 인덱스로 바꿔버렸습니다. 그 다음부터는 잘 되더군요.
 요즘 AIX 서버의 성능 문제에 대해서 자료를 만들고 있는데 nmonanalyser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AIX 전문가가 아닌 제게는 그래프까지 만들어주는 고마운 존재이죠. 오늘 nmonanalyser를 쓰려다가 갑자기 nmonanalyser도 버전업이 되지 않았을까하는 생각에 홈페이지에 가보니 버전업이 되어있네요.(2009년 12월 16일자입니다.)
기존에 사용하던 버전이 3.3.A인데 3.3.E 버전이 올라와 있네요. 즉시 다운받아서 사용 중입니다. ^^
nmonanalyser 사용하시던 분들이라면 다운 받으세요.

nmonanalyser다운받으러 가기

간단한 사용법은 제가 예전에 작성한 글을 참고하세요.
2009/04/10 - [Operating System] - NMON, NMON Analyser를 이용한 시스템 성능 리포트 만들기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