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TN에 있는 문서중에서 RAC 관련 문서를 양면 인쇄하기 위해서 홀수, 짝수 쪽을 나눠서 출력하려 했더니 프린터도 파이어폭스도 지원하지 않는 기능이더군요. 아니면 제가 몰라서 못 쓰는 것일수도 있고요.

그래서 addons.mozilla.org 사이트를 뒤졌더니 PrintPDF라는 부가 기능이 있더군요. PDF 뷰어인 Acrobat reader에 홀수, 짝수 쪽을 나눠서 인쇄할 수 있는 기능이 있으니 PDF로 출력한 뒤에 종이에 인쇄하기로 했습니다. 인쇄 화질이 떨어지지 않을까 걱정했는데, 예상외로 화면에 보이는 것과 거의 흡사한 품질을 보여주네요.

PrintPDF 설치하러 가기
 이 문서는 Ajax 개발시 성능 문제를 개선하기위해서 필요한 도구를 소개하고 있습니다. 제가 사용중인 Firebug도 소개하고 있구요. Yslow라는 도구도 소개하네요.
 갈수록 사용하는 곳이 많아지는 Ajax와 이에따른 성능 문제에 고민하는 개발자라면 한번 읽어볼만한 내용이라고 생각합니다.


원문 : Ajax 성능분석 (최신 도구를 사용하여 작업을 마무리하기)


비동기 자바스크립트 + XML(Asynchronous JavaScript + XML; Ajax) 덕분에 상호작용과 성능에 대한 사용자들의 기대치가 계속 높아지고 있고, Ajax를 웹 응용 프로그램의 필수 요소로 취급하는 개발자들도 점점 늘고 있습니다. 더 많은 코드가 클라이언트 측으로 이동하고 네트워크 모델이 바뀜에 따라, 커뮤니티는 Ajax 고유의 성능 문제들을 다루기 위해 더 많은 도구를 만들어내고 있습니다. Ajax-강화 응용 프로그램에서 성능 문제를 찾아내고 바로잡아주는 도구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성능은 응용 프로그램에 Ajax를 도입해서 개선하려는 일차적인 이유 중 하나다. Ajax는 서버와 통신할 때 전체 페이지를 요청하지 않으므로 응답 시간을 개선할 수 있다. 응답 시간을 줄이면, Ajax는 훨씬 더 나은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Ajax 응용 프로그램의 성능을 분석하고 향상시키려면 전통적인 웹 응용 프로그램과는 다른 도구가 필요하다. 이 기사에서는 이러한 도구들에 대해 알아보고, 성능 문제를 찾고 고치기 위해 그 도구들을 사용하는 방법을 보여준다.

자주 쓰이는 약어
  • CSS: Cascading Style Sheets
  • HTML: Hypertext Markup Language
  • XML: Extensible Markup Language
  • 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

Ajax 응용 프로그램 성능은 웹 응용 프로그램의 몇 가지 측면에 근거한다.

  • 서버 응답 시간
  • 네트워크 전송 시간
  • 클라이언트 자바스크립트 처리 시간

전 통적인 웹 응용 프로그램 개발에서는, 서버 응답 시간이 성능 분석의 일차적인 관심사다. 성능 분석은 대부분 신속하게 요청을 처리하고,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 로직을 수행하고, 응답을 생성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버의 능력을 측정한다. 일반적으로 잘 알려진 것처럼, Ajax 응용 프로그램 개발에서도 이러한 능력이 응용 프로그램 성능의 결정적인 측면이지만, 이 기사는 성능의 다른 부분에 초점을 맞출 것이다.




 자~ 이번에 소개할 Firefox의 확장기능은 Flagfox라는 이름의 재밌는 기능입니다.
이 확장기능은 현재 접속한 웹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서버의 위치를 국기로 표시해주는 재밌는 녀석입니다. 아래 이미지는 Flagfox를 소개/설치 할 수 있는 웹 페이지입니다. Firefox의 우측 하단에 위치한 국기 표시가 바로 그것입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Firefox에 추가" 버튼을 클릭하시면 바로 설치가능하구요.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렇게 옵션에서 위치도 설정 가능합니다.

그리고 Flagfox 아이콘을 클릭하시면 아래와 같이 지도에 서버의 위치 정보가 표시됩니다. 멋지죠?!?! ^^

사용자 삽입 이미지

자~ 한번 설치 해보세요. 그렇게 부담스럽게 덩치 큰 프로그램도 아니니까요. ^^
 알아두면 유용한 Firefox의 부가기능 중 이번에는 Forecastfox라는 기상정보를 제공하는 부가기능을 알려드리려합니다. 이미 많은 분들이 사용하고 있는 Forecastfox는 현재 기상 정보를 제공하며 내일의 날씨도 알려주는 아주 유용한 부가기능입니다.
 한글로 현재 상황과 내일의 날씨를 알려주며, 기온도 함께 알려줍니다.

Forecastfox 사용예

기온과 기상상태를 보여주네요.


Forecastfox 사용예

현재 구름의 모습도 보여주네요.

위의 이미지에서 알수 있듯이 한글로된 정보를 제공하며 우리나라에서 사용하는 미터법 단위로 표시해줍니다.

아래는 Forecastfox를 설치 및 설정하는 방법을 정리 화면입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먼저 addon.mozilla.org에서 forecastfox를 찾아서 "Firefox에 추가" 아이콘을 클릭합니다. 설치가 끝나면 Firefox를 재시작하게됩니다. 그러면 아래와 같은 설정화면에서 초기 설정을 해주게 됩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꼭 해줘야하는게 지역정보 설정입니다. 당연히 서울 사람이 동경이나 뉴욕으로 설정을 하면 안 되겠죠. ^^;
그리고 미터법 단위로 표기할지, 화면에 표시되는 아이콘은 어떻게 할것인가 등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추가로 아이콘을 다운로드 받아서 사용할수도 있습니다.

 골방에 갇혀서 프로젝트를 진행하다보면 날씨가 어떤지 모를때도 많죠. 그럴땐 구글링하면서 화면 하단을 한번 봐주면 되겠죠. 참~ 기상 정보가 표시되는 위치도 마음대로 바꿀수 있습니다. 원하는대로 조정이 가능하죠.
자~ 한번 설치해보시죠.
 공개 웹 브라우저인 Firefox는 다양한 부가기능을 이용해서 사용자가 필요한 기능을 추가하는 것이 장점이죠. 이번에 소개할 부가기능은 NoScript라는 부가기능입니다. 이 부가기능은 웹 브라우저로 웹 서핑을 할때 자바스크립트의 실행을 제한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이 기능을 이용하면 자바스크립트를 이용한 팝업이나 플래쉬(요즘엔 OBJECT를 삽입할때 자바스크립트를 이용하죠.[각주:1]) 등의 화면표시나 실행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addon.mozilla.org의 NoScript 다운로드 페이지입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최근에 발표된 Firefox3 버전을 지원할 뿐만 아니라 Seamonkey까지도 지원하는 유용한 프로그램입니다. 무차별로 팝업을 띄우는게 짜증나거나, 무분별한 자바스크립트 남발로 웹 브라우저가 느려진다면 한번쯤 이용을 고려해볼만한 부가기능입니다.
  1. MS와 이올라스 간의 소송으로 인해서 이렇게 되었죠. 자세한건 다음 링크를 클릭하시면 됩니다. 이올라스 소송 검색 클릭!! [본문으로]

 Firefox의 유용한 확장 기능중 하나인 DownThemAll을 소개합니다. 이 기능은 Firefox에서 다운로드의 기능을 확장해서 사용할 수 있게해줍니다. I.E.에서 사용하던 다운로드 툴 같은 종류죠.


아래는 이 확장 기능을 설치할 수 있는 웹사이트인 addon.mozilla.org의 DownThemAll 페이지입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설치한 뒤에 다운로드 링크를 클릭하면 아래와 같이 선택 창을 보여줍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여기에서 DownThemAll의 다운로드 기능을 이용하려면 두번째 혹은 세번째(이건 기존에 다운로드하던 디렉토리에 저장하도록하는 기능입니다. 편하더군요.) 항목을 선택하고 확인을 클릭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뜨면서 다운로드됩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참 편하죠?? ^^
다운로드 속도도 Firefox로 받을때보다 빠릅니다. 그리고 이어받기까지 됩니다. 최고예요~!
 기다리고 기다리던 Firefox 3이 공개되었습니다. 모질라 재단의 가장 큰 성공작인 모질라 파이어폭스의 세번째 버전 공개는 오픈소스 지지자들에게 아주 큰 의미가 있는 이벤트입니다.

 http://www.mozilla.or.kr/img/tignish/home/feature-logo.png
 오픈소스 프로젝트 중에서  가장 대중적인 사랑을 받고 있는  결과물이며 그 인기가 나날이 커져가고 있는건 아마 파이어폭스가 유일할거라 생각합니다.  OpenOffice.org는 아직 MS Office에게 많이 고전하고 있는 형국이라 파이어폭스의 선전은 반가운 소식이죠.

아래는 IBM DeveloperWorks에 올라온 FireFox 3 관련 문서입니다. 좀더 전문적인  글을 보셔요. ^^

원문 : 파이어폭스3 제자리에!


모질라 파이어폭스 3은 여러 가지 개선 사항이 추가된 주요 릴리스 버전으로, 몇몇 기능은 최종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며, 몇몇 기능은 개발자를 대상으로 합니다. 가장 흥미로운 기능 개선은 사용자가 인터넷에서 접속이 끊어진 상태에서도 동작하는 웹 응용 프로그램 개발 지원입니다. 이 기사에서는 특히 오프라인 응용 프로그램 지원 관점에서 새롭게 선보인 파이어폭스 3 기능을 살펴보겠습니다.

파이어폭스는 모질라 프로젝트 제품 중 가장 큰 성공을 거뒀다. 2004년에 처음 출시된 시점부터 업계 선두 웹 브라우저인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인터넷 익스플로러(MSIE) 판올림 지연과 많은 보안 문제 때문에 웹 브라우저 암흑기에 상당한 인기를 끌었다. 파이어폭스 신드롬에 대응하기 위해 마이크로소프트는 MSIE 개발에 자원을 투입했지만, 새로운 경쟁자의 발걸음을 느리게 만들지는 못했다. 모질라 재단에 따르면, 45개 언어 지원에 힘입어 파이어폭스 사용자가 전세계를 통틀어 거의 2억 명에 이른다고 한다. 모질라는 소프트웨어 분야에서 24시간 동안에 가장 많은 다운로드 횟수라는 기네스 세계 기록을 달성하기 위한 행사를 계획 중이다(역주: 행사는 끝났고 800만 회 이상 다운로드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기록을 달성하기 위해 준비 중인 소프트웨어는 신형 웹 브라우저인 파이어폭스 3.0으로 2008년 여름에 배포 계획이 잡혀 있다(역주: 지난 6월 17일 발표됐다). 이미 RC(Release Candidate) 형태로 배포되었는데, RC는 개발자들이 다음 배포 버전을 완벽한 최종 3.0 버전이라 확신하고 있다는 의미다. 파이어폭스 3은 웹 개발을 좀 더 즐겁게 진행하도록 만들며, 오프라인 지원을 비롯하여 실용적인 범용 응용 프로그램 플랫폼으로 브라우저를 활짝 열어 놓았다. 이 기사에서는 새로운 파이어폭스 3.0 개선판을 통해 얻는 가장 중요한 장점을 설명하겠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