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SQL Unplugged 행사에 참석한 뒤에 한참을 이것저것 하느라 바빴던터라... 이제야 정리를 하게되었습니다.


 IT 업계에 종사하면서 다양한 DBMS를 사용해왔습니다. Oracle, SQL Server, MySQL... 정말 맛보기로 IBM UDB와 PostgreSQL에 2년 전쯤 도입한 Tibero까지... 참 다양하게도 써왔습니다. 하지만 DBA로서 Oracle을 주로 공부하고 운영해 왔었고, 그래서 Oracle에 우호적인 사람이었습니다.  이제 SQL Server를 DBA의 입장에서 바라보기 시작한지 3년쯤 되어가는 DBA로서, Oracle도, SQL Server도 다양한 업무 환경과 서비스에 적용할 DBMS의 하나로 바라보기 시작한것 같습니다. 2010년과 올해(2011년)에 참석했던 SQL Unplugged 행사가 제게 많은 정보와 감동을 준 덕분이라 생각합니다. 이번 2011년도 SQL Unplugged 행사는 작년과는 또 다른 감격을 안겨줬습니다.
이 글을 시작하기전에 미리 말씀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수고하셨습니다. 2012년 SQL Unplugged 행사가 벌써부터 기다려집니다."


0. 점심 도시락
 같이 갔던 누님은 뷔폐식사권이 당첨되어서 그곳으로 가시고, 저는 도시락을 먹었습니다. 도시락도 좋네요. ^^



1. DW applience
 DW 시장에는 applience 형태의 제품이 많습니다. 테라데이타, Oracle ExaData, 네티자 등의 이름은 한번쯤 들어보셨을겁니다.
 그동안 대형 DW 프로젝트에 들어가면 위의 제품들중 하나에 대한 지식, 경험 등이 필요했었죠. 저도... 테라데이타 무경험자로 대형 DW 프로젝트에 투입될 뻔한 적이 있습니다. (아시죠. 테라데이타를 써본적은 없지만... 어쩌구저쩌구... 이런 얘기를 했더랬죠.) 이야기가 딴 쪽으로 빠지기 전에...

 행사당일 HP 부스에서 접한 SQL Server 기반의 DW applience!! DW 시장에서도 SQL Server를 기반으로한 제품이 등장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SQL Server를 사용할 수 있음을 보여줬습니다. 아직 내부 구조를 살펴보지는 못 했지만, DW applience가 출시되었다는것 만으로도 상당한 의미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HP에서 SQL Server를 이용한 DW applience가 등장한 것은 여러가지 이유가 있을겁니다. Oracle사에서 Itanium CPU를 사용하는 장비에 대한 Oracle 제품 개발 및 지원을 더이상 하지 않겠다는 발표도 있었고, SUN을 인수한  Oracle이 Exadata의 H/W를 담당했던 HP와의 제휴를 끊고 자체적으로(SUN을 인수했죠.) H/W를 제작하기도 했고... 적고보니 모두다 Oracle 탓이라고 생각할만한데... 뭐 꼭 그렇지도 않다고 생각되는게, 그동안 H/W 업체중 MS와 돈독한 관계를 유지했던 HP이니까 DW applience가 HP에서 나오는게 어찌보면 자연스러운 거 아닐까요?

 암튼 HP의 DW applience는 나름... 신선한 충격이었습니다. "이젠 대형 DW 프로젝트도 SQL Server로 처리할 수 있겠구나!!"
OLTP에서 DW까지 쭈욱~
 

2. SQL Server "Denali"
 새로운 버전에 대한 정보를 접하는것은 늘 흥미로운 일이죠. 어떤 기능이 들어갔을까? 어떤 기능이 강화되었을까?

저의 이전 글을 보시면 아마 한두건 정도 "Denali"에 대한 글이 있을겁니다. 지금 알고있는 내용이 이 행사때 들은건지 헷가려서 이 부분은 통과 하겠습니다. 사실... 그날 들은 내용이 뭔지 기억이 잘 안나요. ^^;; 죄송합니다. 너무 늦게 정리하다보니...


3. 정보보안 시대의 SQL Server
 SQL Server의 암호화는 제 생각보다 편하더군요. DB 전체를 통체로 암호화하고 따로 함수를 쓰지 않아도 된다는 점. 음 물론 현재 정보보호 관련 법규에 적합한건지 좀 알송달송한 부분이 있지만, 이 부분은 현재 확인 중입니다. 만약에 현재의 정보보호 관련 법규에 적합하기만 하다면 정말 대박이라고 생각합니다. 따로 보안 솔루션을 도입하지 않아도 되니까요.



덧붙여서...
 또다른 사람에게 SQL Server의 세계를 알려주다.
 작년에 이어 올해에도 참가 신청을 한뒤 생각해보니 주변에 SQL Server를 업무에 사용하는 누님이 한분 계신데 과연 이분이 "SQL Unplugged" 행사를 알고계실지 궁금해졌다. 그분은 나와 같이 Oracle을 배웠지만 나와는 달리 SQL Server를 주로 사용하는 곳에 근무하고 있었다.(아마도...?!?!) 난 이것저것 섞어서 쓰고있다. 그리고 업무의 강도와 양으로 따지자면 20% 정도를 SQL Server가 차지한다고 생각한다.
 암튼, 이 누님에게 물어봤더니 처음 듣는다길래 같이 가자고 바람을 넣었고, 하루 종일 SQL Server만 다룬다는 얘기에 그리고 보안에 관련된 세션도 있다는 점에 참가 신청을 했다.
 결과는 대만족!!
"SQL Server가 이렇게 많은 부분을 다루는지 미쳐 몰랐어"라고 누님의 얘기에 추천한 보람을 느꼈달까... 내년에도 누군가와 함께 가야겠다는 일종의 의무감도 생겨버렸다. 누굴 데려가지???  아니 그전에 2012년에도 Unplugged 행사 개최하시는거죠? ^^

 이 부실한 글을 8월 18일에 쓰기 시작했으니 마무리하는데 2개월가량이 걸렸네요. 제 부족함과 게으름의 결과인듯합니다. 아~ 그 동안 제 아들 석이가 태어났어요. 이제 아빠랍니다.
 본격적으로 SQL Server까지 같이 관리하게 된지도 2년이 넘었다. 튜닝 수업도 들어보고, 전문가들의 세미나도 들어봤지만 아직 Oracle에 비해서는 자료나 강의가 좀 부족하다는 느낌을 지울수 없다. 그러다가 알게된 "SQL Server 2008 R2 Upgrade seminar" 웹 사이트.
 이 사이트는 SQL Server 2008 R2로의 upgrade 필요성과 방법론, 사례 발표 등의 세미나를 영상과 문서로 제공하는데, Microsoft SQL Server 2008 R2로 upgrade하려는 사람이라면 한번 들어볼만 하다. Firefox에서도 정상 작동하는 웹 사이트임.

 그동안 NHN에서 영입한 많은 인재들이 만들어낸 아름다운 성과물의 집합. NHN Deview 2010을 다녀온 감상입니다.
사실 NHN Deview 210에 다녀오기 전에는 서버 가상화랑, 대용량 DB에 대한 내용만 좀 건져도 가치있는 시간일거라 생각했었습니다. 근데, 실제로 뚜껑을 열어보니 기대 이상의 내용이었습니다.

"한국 IT 업계에서의 오픈소스의 가능성을 보다"

 위와 같은 문구를 내세운것는 제 개인적인 감상입니다.  제가 들었던 세션들이 대부분 오픈소스 프로젝트이거나 외부 오픈소스 프로젝트를 활용한 내용들이었기에 아마도 이런 느낌을 강하게 받았었으리라 생각합니다. 다른 세션을 들었던 분들은 또 다른 느낌일 수 있습니다.

 서버 가상화를 통한 효율적인 서버 자원 운용 및 긴급한 서비스 요구 사항 대처. 가상 서버를 이용해서 개발에 필요한 자원을 쉽게 획득하고 필요할때 자원을 한곳으로 집중할 수 있는 구조는 개발과 운용에 아주 큰 힘이 되죠. 그리고 발표자께서 예로 들은  전직 대통령 조문 사이트 같은 긴급하지만, 일시적인 서비스를 제공할때 아주 유용합니다. 여기에 오픈소스 가상화 시스템인 Xen을 이용하며 그 관리를 위한 시스템을 내부적으로 구축했다는 얘기는 아주 인상적이었습니다. 이 부분은 memcached를 이용한 Arcus에서도 나왔습니다. 음... NHN이라는 거대한 기업이 오픈소스를 많이 사용하고 오픈소스에 기여도 하는걸보니 역시 인재가 많은 회사라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을 가져다 쓴다.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의 부족한 부분을 보완한 코드를 알려주어 다른 사용자들에게도 도움이 되도록 한다.

라는 간단하지만 어려운 일을 하고 있더군요. 저희 회사에도 적용할만한게 있을지 고민 중입니다.
내년 Deview가 벌써부터 기대됩니다. ^^


 그동안 여러 세미나에 다녀왔지만, 아마 MS SQL Server만 다루는 세미나는 처음인걸로 기억합니다. 바로 지난 금요일(2010년 6월 11일)에 열린 "SQL Unplugged 괴물 이야기"라는 세미나입니다.
 처음에는 MicroSoft에서 개최하는 행사인줄 알았는데, PASS(SQL Server 전문가 협회(PASS_Professional Association for SQL Server))라는 커뮤니티의 한국 회원분들의 주도하에 진행된 행사더군요. 그동안 Oracle을 주로 사용해왔던터라 PASS라는 이름도 그날 처음 들었습니다. 엑셈이 MS-SQL 분야에서도 컨설팅을 한다는 것도 신선한 소식이었고, 무엇보다 제가 듣고 싶었던 HA, BI, 대용량 DB, Query tunning 등에 대한 다양한 세션이 준비되어있어서 아무 맘에 들었었습니다. 문제는 제가 DBA 세션만 들었다는 겁니다. 동영상 편집이 완료되는대로 업로드한다고 하니까 곧 나머지도 볼 수 있을거라 생각합니다.

1. 엑셈의 MS SQL Server 컨설팅
 사실 Oracle 관련 정보만 평소에 접하다보니 엑셈이라는 이름이 아주 친숙했었습니다. 근데, SQL Server 세미나에서 엑셈이라는 이름을 듣게 될줄은 몰랐었습니다. 엑셈의 컨설턴트가 발표하는 세션을 들었는데, DMV(Dynamic Management View)라고 Oracle의 v$ 혹은 DBA_로 시작하는 각종 Dictionary View에 해당하는 것이 존재하는것도 알게되었고, 이를 튜닝, 트러블슈팅에 이용하는것도 조금은 알게되었습니다. 앞으로 공부할게 너무 많아져서 고민입니다.


2. HA. DB 복제와 MSCS에 대한 얘기
 DBMS에서 HA 구성에 대한 얘기를 하면 흔히 Oracle의 RAC를 떠올리게됩니다. 시장에서 가장 많이 알려진 제품이고, 구축 사례도 많기 때문이죠. 이와 비슷한(사실 비슷하지만 많이 다른것 같습니다. IBM의 P시리즈의 가상화를 이용한다는걸로 알고있습니다.) IBM의 pureScale이라는 DB2 제품이 나왔습니다. 다만, SQL Server에서는 아직 이런식의 Cluster 제품은 나오지 않았습니다. 그래서인지 DB 복제와 MSCS에 대해서 발표자들이 소개했고, 참석자들의 질문은 DB 복제에 집중되었습니다. 복제 관련 질문이 너무 많아서인지 사회자가 복제에 대한 질문을 제한하기도 했었죠. 복제에 대한 질문이 너무 많아서인지 제가 궁금했던 점과 인식하지 못했던 점까지 알게되어서 좋았습니다.
 세미나에서 들은바로는 현재 많이 사용하고 있는 복제는 2008 이후 버전에서는 P2P 복제가 대체하게 된다고합니다. 앞으로 P2P 복제에 대해서 공부를 좀 해야 겠다는 생각을 해봅니다.

 그리고 MSCS(MicroSoft Cluster Service의 약자)에 대해서 얘기하자면, 현재 잡코리아에서 이를 이용해서 Active-Standby 구성의 HA를 운영중이며, 장애 발생시 1분 이내에 처리가 완료된다고 합니다. 3rd party Cluster 제품을 이용하는 업체도 MSCS로 재구축하는 사례가 있다는 얘기를 하던데요. Windows 환경에서의 Cluster 구성은 이제는 MSCS가 제일 안정적인가봅니다.


3. Business Intelligence
 사실 이 부분은 제가 지금 근무하는곳으로 이직 하기전에 했던 DW구축 및 운영 업무와 관련이 있어서 듣고 싶었던 세션입니다. HA와 튜닝 등의 세션에 밀려서 듣지 못했지만, 동영상 편집이 끝나는대로 볼 수 있게 해준다고 하시네요. 기대하고 있어요~ ^^
앞으로 이 부분은 실무에도 적용을 해보고 싶은데, 현재는 정보 부족으로 테스트도 해보지 못했습니다. 예전에 썼던 DataStage만큼만 해주면 참 좋을것 같은데...


 MS SQL Server는 중소형 서비스에 적합한 쉽게 설치해서 쉽게 쓰는, 그래서 세세한 튜닝이나 운영은 필요없는 초보용 DBMS라는 인식이 많았던게 사실입니다. 저 역시 그렇게 생각해왔었구요. 그런데 이번 SQL Unplugged에 참석하고나서 생각이 많이 바뀌었습니다. 충분한 교육과 정확한 자료만 있다면 아주 파워풀하게 사용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앞으로 SQL Server에 투자하는 시간이 좀더 늘어날것 같습니다.


 요즘 이기종 DBMS간의 Data 동기화에 대해서 많은 고민을 하고 있습니다. 지금 근무하는 직장에 입사하기 전, DW 구축 업무를 했을 때에는 Data 동기화보다는 정해진 시간내에 통계 Data 구축을 마치는데에 신경을 썼지 실시간 동기화는 큰 필요성을 느끼지 못했었죠. ETL Tool을 이용하면 여러 시스템에서 Data를 가져오거나, 보내주는 Data file 등을 가공하는데 불편함이 없었으니까요. DataStage가 좋더군요. (비싼게 좋네요. ㅡㅡ)
 고사양, 대용량 시스템에서 DW 구축할때와는 달리 소규모 DB를 여러대 사용하는 환경으로 바뀌게 되니까 여러가지 제약과 마주치게 되었습니다. 예산이 적다보니 편리한 ETL Tool은 쓸 수 없고, 기준 정보를 동기화 해야한다던지(꼭 실시간을 원하더군요.), 서로 다른 서비스/업무 시스템에서 서로 다른 DBMS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네요.
 Oracle을 사용하던 중에 MS-SQL이 도입되었고, 이제는 TmaxData의 Tibero까지 도입되었습니다. ㅜㅜ
TmaxData의 ProSync, Tibero와 MS-SQL 등과 씨름하던 중에 Oracle의 Golden gate에 대해서 듣게 되었고, 01월 12일(화)에 세미나를 한다는 정보를 접하게 되었습니다. 월차를 내고 거기에 갔었죠. 이 글은 Oracle Data Integration Day에 참석한 DBA의 소감입니다.

 아래 사진은 코엑스 인터컨티넨탈 호텔 지하1층 다이아몬드홀 앞에 준비되어있던 참석자를 위한 휴식 공간에 비치된 의자들입니다. 편안하게... 거의 누워있는듯한 자세로 앉게 되는 빈백(이름이 맞는지 모르겠네요?)과 영화 감독님 의자(낚시 의자 같은)입니다. 편하더군요.



















































 늦게 도착해서 첫번째 세션인 [[Keynote] Real Time Enterprise를 위한 혁신 : Data Integration]은 듣지 못했고, 두번째 세션인 [Real Time Data Integration 고객 사례 : 현대증권]부터 들었습니다.

 Golden gate
 Exadata 소개 세션을 제외한 세션들은 저마다 차이는 있으나 Golden gate를 이용한 고객 사례 소개와 이번에 새로 나온 제품이 아닌 기존에 여러 기업에서 사용하고 있던 좋은 솔루션이라는 점을 강조하고 있었습니다.
 일단 제가 봐도 좋아보이는 점은 다양한 이기종 DBMS간의 Data 동기화를 가능하게 해준다는 점과 단방향 및 양방향 동기화까지 지원해준다는 점입니다. 실시간 동기화는 현대증권에서 이미 구축 사례가 있으니 신뢰가 가네요.
 저희 회사처럼 세 가지 이상의 DBMS를 사용하는 곳이라면 적절한 솔루션이 아닐까요? 음... 가격을 모르니까 좀 걱정이 되긴 하네요.

 Exadata V2
 Exadata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통합한 제품으로 DW에 초첨이 맞춰져있었던 Exadata V1때부터 관심이 있던 제품인데, V2는 정말 맘에 드는 제품으로 변해있더군요. SUN을 인수 이후 가장 눈에 띄는 제품이라고 생각합니다. 두 회사의 강점이 모여서 나온 이 제품은 SUN의 Flash fire 및 하드웨어 노하우와 Oracle의 DBMS, Storage 관리 기능이 한데 묶여서 DW와 OLTP를 모두 지원하는 하이브리드 장비이면서 기존의 Exadata V1보다 월등히 빠른 제품이 되었습니다.
 강력한 Data 압축 기능(Exadata Hybrid Columnar Compression라고 하던데... 정확한 명칭인지는 확인을 못했습니다.)을 지원하는... 좀 아쉬운점은 일반 Oracle 11g에서도 지원하는 기능인데, Exadata에서만 작동 가능하도록 설정되어 있다고 합니다. 음...
 Exadata의 핵심은 SUN의 Flash Fire 카드를 장착하고 Oracle Storage Software를 설치한 SUN Oracle Exadata Storage Server인것 같습니다. Flash Fire 카드의 캐쉬 기능을 이용하여  반응 속도를 빠르게 하고, 강력한 압축 기능을 이용하여 Storage 효율을 높인 점, 그리고 SUN Oracle Exadata Storage Server가 자체적으로 Query 문장을 인식하여 처리가 가능하여 더욱 빠른 Data 처리가 가능하도록 만들어져있더군요. 언젠가 여건이 된다면 Exadata를 도입한 회사에서 근무해보고 싶네요. 음... 한번 만져보고 싶은...

그리고...
 세미나 참가자 기념품이 배송 사고로 인해서 추후 택배로 배송해준다고해서 회사 주소를 적어놓고 왔는데, 오늘 도착했습니다. 아래 사진에 보이는 제품입니다. ^^ 폰카로 찍어서 화질이 안 좋네요.

 회사에서 MS-SQL과의 Data 동기화에 누락된게 있다고 전화가 와서 경품 추첨을 뒤로한채 나와야 했었는데, 이날 경품 중에 순금이 있더군요. ㅜㅜ
꼭 받고 싶었는데... 우웅...
 삼성동에 있는 썬 마이크로시스템즈(주) 교육센터에서 4월 오픈 기술세미나 참석자를 모집하네요. 가상화와 자바EE 등에 대한 내용을 주제로 하고 있고, 4월에 세번 개최하네요.
4월 7일 화요일 7시 : 클라우드 컴퓨팅을 위한 서버가상화
4월 14일 화요일 7시 : Glassfish의 미래와 자바EE
4월 28일 화요일 7시 : 한국썬의 SOA전략:자바캡스6버전

원문보러가기~

아래 내용은 원문의 일부입니다.
> 참가비: 무료

>  신청방법
아래의 메일로 [세미나명/회사명/이름/휴대폰/이메일)을 작성하여 보내주세요.
(세미나 신청은 선착순으로 마감되며, 신청자분께는 별도 안내 예정입니다.)


 최근들어 공개 소프트웨어 관련 프로젝트와 결과물들을 보여주고 있는 NHN에서 11월 22일(토)에 NHN DeView 2008이라는 행사는 열고 여기에서 nFORGE, 큐브리드 DBMS, 제로보드 XE 등과 같은 제품에 대한 상세한 내용을 발표한다고 합니다. 이 행사에서는 NHN의 오픈소스 개발자들과 함께 얘기할 수 있는 자리도 마련되어있다고 합니다.

 우리 나라에서 NHN같은 큰 회사에서 이 정도의 결과물을 오픈소스로 공개하는 일은 전례가 없었던 일이었기에 의미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참가비는 무료이며 중식을 제공한다고 합니다.

일시 : 2008년 11월 22일 (토) 오전 10시 ~ 오후 5시 30분
장소 : 양재동 AT 센터
주최 : NHN(주)


 2006년에 SUN Tech Day 2006 Seoul 행사에 참석했을때의 감동을 다시 느껴보고자 SUN Tech Day 2008 Seoul 행사에 다시 등록을 했었습니다.


 10월 15, 16 양일간 진행되는 행사에 이번에도 JAVA, Solaris를 두개의 축으로해서 세미나가 준비되었더군요.
2006년도에는 JSP로 웹 개발을 했던 시기라 JAVA쪽 주제를 주로 들었지만, 이번엔 DBA로 이직을 한터라 운영체제쪽, 즉 Solaris쪽 주제를 대부분 선택해서 등록을 했었습니다.
 이게 음... 9월의 이야기입니다. 그런데 예상치 못한 복병이 나타났습니다. 10월 11일(토) 새벽에 설악산 대청봉 가는길에서 제가 발목을 다쳐서는 목발을 짚고 다니게 되었습니다. 불과 삼일간의 치료로는 행사장에 원활하게 다닐수가 없더군요. 그래도 SUN Tech Day 2008 Seoul 행사에 참석하고자 15일(수) 아침 7시30분에 등록을 하러 잠실 롯데 호텔에 갔습니다. 등록하는것부터가 난관이더군요. 길게 늘어선 등록 대기줄에 서서 겨우 등록을 마치고는 다시 사무실로 향했습니다.
 15일(수)부터 휴가를 신청했으나, 16(목)부터 휴가가 허락되어서 15일(수)은 오후에 조금 일찍 퇴근해서 오후 부분만 세미나를 들으려고 했었습니다. 근데, 에휴~ 갑자기... 늦게 일이 생겨서 그날은 6시가 지나서야 퇴근을 할 수 있었고, 첫째날은 아무것도 세미나를 들을수가 없었죠. 슬픈 일입니다. SUN 메신져백을 받지못한것도 많이 아쉽네요. ^^;
 
여기에 첫날 제가 들으려고 했던 세션들을 적어봅니다.

1. 리눅스의 미래 : 오픈솔라리스
   평소에 리눅스에 대한 관심이 많았기에 오픈솔라리스의 행보에도 눈길이 가더군요. 꼭 듣고 싶었는데 아쉽네요.
2. MySQL : Web 2.0을 위한 데이터베이스
   PostgresQL과 함께 공개 데이터베이스 시장의 거목인 MySQL 관련 세션입니다. 현재 DBA로 근무를 하고 있기에 더욱 신경이 쓰이는 세션이었습니다.
3. 오픈솔라리스와 리눅스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성능 최적화 기술
4. 오픈솔라리스 시작과 쿨 피쳐
5. Porting open source package to OpenSolaris
6. 오픈솔라리스에서 개발부터 배포까지

 16일(목)은 발목 통증때문에 하루종일 집에만 있었기에 더욱 우울한 하루였습니다. 병원에 나간 두시간 가량을 빼면 쇼파에 누워 냉찜질을 하며 TV를 본 기억밖에 없습니다. 세미나를 못 들은 아쉬움과, 휴가 첫날을 통증과 함께한다는 우울함...

 아래는 둘째날 제가 들으려고 했던 세션들입니다.

1. 데스크탑 및 기업을 위한 가상화 기술
2. What are we doing to optimize Solaris on Intel Architecture
3, 오픈솔라리스와 리눅스를 위한 병렬 애플리케이션 개발
4, 고가용성과 업무 연속성을 위한 아키텍쳐
5. 안전한 개발부터 배포까지


 꼭 위의 경품들을 못 받아서라기보단 평소에 접하기힘든 솔라리스 관련 강의 세션들을 못 들은게 많이 아쉽네요..... 사실 메신저백이 탐이 났었습니다. ^^;;
암튼 다양한 주제의 강의 세션과 실습 세션들을 준비하신 한국썬마이크로시스템에 감사드리며 다음에 이런 기회가 생긴다면 꼭 참석하고싶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