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개발한 프로그램이 다양한 플랫폼에서 실행이 된다면 참 기분 좋은 일일것입니다. 그래서 자바로 짠 코드를 유닉스 서버와 윈도우 PC에서 돌려보곤 하죠. ^^;

 이번에 소개하는 문서는 GUI Desktop application을 다양한 OS 상에서 개발하는데 관련된 문서입니다. 한번 읽어보시구요. 저도 루비에 대해서는 잘 몰라서 걍... 소개만 하려합니다. 암튼... 이런게 꽤 흥미롭죠.
연말이랑 이것저것 정리할게 많군요. 아~ 왼쪽 다리가 빨리 안 나아서 걱정입니다.



원문 : JRuby와 스윙(Swing)으로 크로스 플랫폼 개발

루비로 웹과 콘솔 애플리케이션을 제작할 수 있지만, 또한 다수의 플랫폼에서 실행 가능한 복잡한 GUI 데스크톱 애플리케이션도 작성할 수 있습니다. JRuby 덕택에 루비 GUI 툴킷에서 자바(Java™) 플랫폼이 제공하는 UI 도구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JRuby는 루비의 C 구현 대비 안정된 대체 구현입니다. 본 문서에서는 Monkeybars를 소개하고, 이와 관련된 예제 애플리케이션도 더불어 제공합니다. Monkeybars는 JRuby와 스윙을 써서 애플리케이션을 제작하기 위한 라이브러리입니다.

루비는 현재까지 웹 애플리케이션 작성을 위한 최고의 프로그래밍 언어로 알려져 있다. 이는 주로 Ruby on Rails 프레임워크 덕분이다. 그러나 이 언어는 충분히 강력하므로, GUI 데스크톱 애플리케이션 작성 이상의 것도 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데스크톱 목적으로 루비를 사용하는 법을 다룬다. 독자는 GUI 데스크톱 애플리케이션을 생성하는 상세 예제를 통하여 Monkeybars를 실습해 볼 수 있다. Monkeybars란 스윙과 JRuby에 기반을 둔 오픈 소스 라이브러리다.


 루비 개발을 위한 IDE로 이클립스의 RDT 플러그인이 발전한 Apatana Radrails가 유명하죠. 저도 Apatana Radrails를 설치해보고 이것저것 플러그인을 설치하는데 시간을 보내곤 했었습니다. 이번에 IBM DW에 올라온 문서는 이클립스에서 루비 개발을 위한 RDT 플러그인에 대한 문서입니다. 간단하게 RDT를 설치했을때 루비 개발에 사용하는 뷰들에 대한 설명이 정리되어 있으며, 추가로 소개된 관련 문서들을 참고하면 루비 개발을 시작하는 분들에게 도움이 될 것입니다.

원문 : 이클립스를 이용한 쉬운 루비 개발


3년 전 developerWorks의 "이클립스용 Ruby Development Tools(RDT)" 라는 기사에서 RDT의 몇 가지 특징에 대해 소개했습니다. 당시 버전이 0.5였던 RDT는 Aptana RadRails로 불리며 Aptana Studio나 이클립스를 통해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기사에서는 RDT 플러그인에 추가된 새로운 몇 가지 특징에 대해 소개하고자 합니다.

RDT 플러그인의 이름과 일부 코드는 변경되었지만 기본적인 기능과 사용조건(licensing terms)은 그대로다. 이클립스에서 루비 개발을 처음 시작한다면 'Neal Ford'의 "이클립스용 Ruby Development Tools(RDT)"에 루비 파일을 생성하고 편집기를 커스터마이징하는 방법, 실행하고 디버깅하는 방법에 대해 나와 있으니 참고하길 바란다. 이 기사는 Ford의 기사를 바탕으로 썼으며 아래와 같은 항목을 살펴볼 것이다.

  • 코드 폴딩 — 클래스와 메서드 들을 코드 폴딩할 수 있다.
  • 아웃라인 뷰 — 아웃라인 뷰를 통해 좀 더 자세하게 볼 수 있다.
  • RI(Ruby Interactive) 뷰 — RDT를 통해 RI 문서를 사용할 수 있다.
  • 작업 태그 — TODO와 FIXME 같은 주석 키워드를 통해 작업을 생성할 수 있다.
  • 루비 브라우저 — 프로젝트 내에서 사용 가능한 루비 리소스를 손쉽게 볼 수 있으며 이를 브라우징할 수 있다.
  • 편집기 기능 향상 — 자동완성(중괄호, 괄호, 큰따옴표, 작은따옴표), 코드 어시스트 기능

시작하기

현재 RDT는 Aptana RadRails V1.0.3으로 불리며 Aptana.com에서 받을 수 있다. 새 버전을 받거나 이클립스 플러그인을 갱신하려면 Aptana's RadRails instructions를 참고하면 된다. Aptana 플러그인을 설치해본 적이 없다면 Plugging Aptana into an existing Eclipse configuration을 참고하자. 또한 Aptana에서는 RadRails 문서를 통해 특정 운영체제에서 생기는 문제 해결방법도 제공한다.


 이번엔 지난번에 소개했던 이클립스 유로파로 웹 개발하기 시리즈의 세번째, 루비 개발 도구와 RadRails입니다. 개발자에게 재미난 유희로 혹은 실제 업무에 사용할 유용한 개발 도구로서 루비는 그 영역을 넓혀가고 있습니다. 이클립스가 루비 개발 환경을 지원하는 것은 어찌보면 당연한 결과라고 생각합니다. Aptana studio라는 루비 IDE도 나와있는 상태죠. 이번에 소개할 문서는 이클립스 유로파에 루비 개발 도구를 설치해서 사용하는 법을 알려줍니다. 저도 따라서 해보고 있는데 재미있네요. ^^ 실제 업무에 써 볼 일이 생길지는 모르겠지만요.

 원문 : 이클립스 유로파로 웹 개발하기, Part 3: 루비 개발 도구와 RadRails (한글)

아래는 문서의 서론 부분입니다.

Java™, PHP, 루비로 웹 개발을 할 때 이클립스(Eclipse)를 사용하는 방법에 관한 3부로 이루어진 "이클립스 유로파로 웹 개발하기" 의 Part 1에서는 이클립스 최신 버전인 유로파를 이용해 어떻게 자바 웹 애플리케이션을 신속하게 개발할 수 있는지에 대해, Part 2에서는 PHP 애플리케이션을 PDT(PHP Development Toolkit) 플러그인을 이용하여 얼마나 쉽게 개발할 수 있는지를 다루었습니다. 이번 Part 3에서는 RDT와 RadRails 이클립스 플러그인들에 대해 다룰 것이며 이 플러그인들을 설치하는 방법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앞으로 많은 루비 온 레일스(Ruby on Rails) 개발 작업들을 RadRails를 통해 하는 방법을 배울 것입니다.

이 튜토리얼 내에서

Part 2에 서는 PHP를 개발함에 있어 IDE를 이용하여 얻을 수 있는 이점에 대해 이야기해 보았다. 대부분의 것들은 루비에도 똑같이 적용되며 루비 개발 툴킷(RDT)을 이용할 때 얻게 될 것이다. RDT는 구문 강조(syntax highlighting), 컬러링(coloring), 문법 검사, 코드 자동 완성, 포맷화(formatting) 그리고 프로젝트 구성 등 IDE의 기본적인 모든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큰 프로젝트에 필수적인 루비 디버거(debugger)를 제공하고 있다. 그 외에도 정규표현식(regex) 편집기/테스터 같은 기능과 Test::Unit와 통합을 통한 단위 테스트 환경도 있다.

이번 튜토리얼에서는 RDT와 RadRails 플러그인을 소개할 것이다. 그리고 이것들을 설치하는 방법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보여줄 것이다. 루비 온 레일스 개발 작업들을 RadRails를 통해 어떻게 하는지를 배우게 될 것이며 RadRails를 통해 레일스 애플리케이션 테스트와 디버그를 더 쉽게 하는 방법을 알게 될 것이다.


선수조건

이번 튜토리얼은 루비를 통한 웹 개발이다. 루비 온 레일스로 웹 개발을 한다는 말이나 다름 없다. 그래서 루비 온 레일스에 대해 약간의 경험이 있다고 가정한다. 이클립스에 익숙하다면 도움이 되겠지만 필수적이진 않다. 이번 튜토리얼은 처음 두 튜토리얼에서 자바와 PHP로 개발된 애플리케이션 위에서 개발된다. 자바와 루비 프로그래밍의 배경지식은 필수다. 이클립스 IDE에 익숙하다면 도움이 되겠지만 필수적이진 않다.

자~ 루비, 한번 해볼까요?
 이번엔 제가 잘 사용하지 않아서 잘 모르는 내용을 소개하려 합니다. IBM DB2에서 Ruby on Rails 개발 환경을 설정하고 사용하는 법 입니다. 제가 주로 Oracle DBMS를 사용하는터라 DB2를 배우고 싶긴한데 시간이 잘 안 나네요. ^^;
 루비도 책 한권 사놓고는 제대로 보지도 못했습니다. 에휴... 빨리 공부 해야할텐데...
아무래도 스키 시즌 지나가기 전에는 책보기 힘들듯 합니다.

원문 : DB2와 Ruby on Rails, Part 1: DB2와 Ruby on Rails 시작하기 (한글)
두 명의 DB2 전문가와 두 명의 소프트웨어 엔지니어가 이 글의 저자입니다.

Part 1에서는 DB2 설치, Rails 설정 등의 기본적인 작업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2007 년 7 월 24 일

Ruby 언어의 등장과 강력한 Rails 프레임웍의 결합으로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수 많은 기회들이 생겼습니다. IBM_DB 어댑터와 드라이버의 도입으로, Rails 애플리케이션들은 이제 IBM 데이터 서버들과 완벽하게 상호 작동 할 수 있습니다. DB2®와 Ruby on Rails 시리즈를 시작합니다. DB2 on Rails용 Starter Toolkit를 소개하고, IBM_DB 드라이버를 설치하는 다양한 방법과 DB2로의 Rails 마이그레이션을 설명합니다.

머리글


2004년 출시된 Ruby on Rails는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사용되는 가장 대중적인 프레임웍으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Rails 또는 RoR로 알려진 이 오픈 소스 프로젝트는 Model-View-Controller (MVC) 아키텍처, Ruby 객체 지향 스크립팅 언어, "convention over configuration"과 "don't repeat yourself" 같은 단순한 원리를 사용한다. 개발자들은 중복이 적은 코드와 설정 파일을 사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을 더욱 빠르고 쉽게 구현할 수 있고, 애플리케이션의 필요를 채울 수 있는 커스텀 확장을 구현할 수 있는 유연성도 있다. 데이터베이스 영속성에 대한 지원으로, 이 프레임웍을 사용하는 웹 애플리케이션들은 데이터베이스 서버와 빌트인 WEBrick 웹 서버를 사용하여 개발될 수 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