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BM DeveloperWorks 한국어판 웹사이트에 올라온 번역 문서중에서 NFS 관련 문서가 있어서 소개합니다.
제목은 "네트워크 파일 시스템과 Linux"입니다.

원문 링크

요약: NFS(Network File System)는 1984년에 등장했지만 여전히 진화하면서 분산 파일 시스템에 대한 기초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오늘날 NFS는 pNFS 확장을 통해 네트워크에 분산된 파일에 대한 확장 가능한 액세스를 제공합니다. 분산 파일 시스템 뒤에 숨겨진 개념에 대해 살펴보고 특히 NFS의 최근 발전사항에 대해 알아봅니다.

 DB로 운영중인 AIX 서버의 Filesystem 용량을 변경해줘야할때가 있다. DBMS Patch 혹은 AIX Patch나 Upgrade 작업을 할때 바이너리 압축을 풀 공간이 부족하거나... 뭐 이런저런 이유로 말이다.
 AIX 장비를 운영중인 DBA라면 알고 있겠지만, AIX는 Volume Group으로 Disk를 묶어서 이를 필요한 마운트 지점에 올려준다. 표현이 부드럽지 않은면이 있지만, 뭐 잘 알아들으시리라 믿으며... (나중에 내가 이해 못하지는 않겠지. ㅋㅋㅋ) 암튼 그래서 이 방식의 장점은 운영중에도 용량을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다. Linux 장비에서도 LVM을 사용해서 파일시스템을 구성하면 이런식으로 쓸 수 있다고 한다. 아직까지 시도해보지는 않아서 Linux에서 LVM이 쓸만한지는 모르겠다.


[TEST1:/] su - root (엔터)   <= 당연한 얘기겠지만, root 계정으로 작업을 해야한다. 현재 로그인한 사용자 id를 모르겠다면 id라고 입력하면 현재 로그인한 사용자의 정보를 보여준다.

[TEST1:/] smitty jfs2 (엔터)  <= 이렇게 하면 관리자 화면이 뜹니다.
아래의 메뉴 중에서 위에서 세번째에 있는 메뉴가 바로 File System을 변경하는 메뉴입니다. 여기로 커서를 옮기고 엔터키를 누르면 해당 메뉴로 들어갑니다.
  Add an Enhanced Journaled File System
  Add an Enhanced Journaled File System on a Previously Defined Logical Volume
  Change / Show Characteristics of an Enhanced Journaled File System
  Remove an Enhanced Journaled File System
  Manage Quotas for an Enhanced Journaled File System
  Defragment an Enhanced Journaled File System
  List Snapshots for an Enhanced Journaled File System
  Create Snapshot for an Enhanced Journaled File System
  Mount Snapshot for an Enhanced Journaled File System
  Remove Snapshot for an Enhanced Journaled File System
  Unmount Snapshot for an Enhanced Journaled File System
  Change Snapshot for an Enhanced Journaled File System
  Rollback an Enhanced Journaled File System to a Snapshot


정상적으로 세번째 메뉴로 커서를 옮기고 엔터키를 눌렀으면 아래와 같은 선택 메뉴가 나온다. 어떤 파일시스템을 수정할것인지 선택하는 메뉴이다. 여기서 원하는 파일시스템으로 커서를 옮기고 마찬가지로 엔터키를 눌러주면 해당 파일시스템의 정보를 수정하는 화면으로 이동한다.
                                                                         File System Name                            
                                                                                                                          
                                             Move cursor to desired item and press Enter.                            
                                                                                                                         
                                               /                                                                     
                                               /home                                                                 
                                               /usr                                                                 
                                               /var                                                                  
                                               /tmp                                                                  
                                               /opt                                                                  
                                               /var/adm/ras/platform 

용량 수정을 할때 미리 단위(KB, MB, GB)를 설정해주고 크기를 수정해준다. 5 GB 정도 늘릴건데 단위를 KB로 해놓으면 숫자키 입력하기 바쁘지 않겠는가. 단위 선택을 잊지 말자.
단위 선택은 "Unit Size" 항목이며, 용량 설정은 "Number of units"이다.

                                                           Change / Show Characteristics of an Enhanced Journaled File System

Type or select values in entry fields.
Press Enter AFTER making all desired changes.
 
                                                        [Entry Fields]
  File system name                                    /tmp
  NEW mount point                                    [/tmp]
  SIZE of file system
          Unit Size                                   512bytes                                                                                                                       +
          Number of units                            [2097152]                                                                                                                        #
  Mount GROUP                                        []
  Mount AUTOMATICALLY at system restart?              yes                                                                                                                            +
  PERMISSIONS                                         read/write                                                                                                                     +
  Mount OPTIONS                                      []                                                                                                                              +
  Start Disk Accounting?                              no                                                                                                                             +
  Block Size (bytes)                                  4096
  Inline Log?                                         no
  Inline Log size (MBytes)                           [0]                                                                                                                              #
  Extended Attribute Format                          [v1]
  ENABLE Quota Management?                            no                                                                                                                             +
  Allow Small Inode Extents?                          no                                                                                                                             +

 입력이 다 끝나면 변경된 내용을 적용하기 위한 단축키(ESC + 4)를 눌러준다. 그러면 적용이 된다.
ESC + 4 : 용량 설정 후 적용할때 단축키

 그리고 smitty에서 빠져나가는 단축키(ESC + 0)을 눌러준다. 평소에는 F10을 눌러서 나갈수도 있는것 같은데 AIX 엔지니어가 이 단축키를 알려줬다. 아마... 뭔가 이유가 있겠지??? 이유를 알게되면 내용을 추가하겠다. 그럼 이만~~~
ESC + 0 : smitty에서 빠져나갈때 단축키

 한국 IBM DeveloperWorks 사이트에 Ext4에 관한 글이 올라왔네요. 최근에 출시된 Fedora 11에는 기본 파일 시스템으로 채택되어있더군요. 음... 드디어...
 Ext4에 대해서 궁금하신 분들은 한번 읽어보세요. 번역까지 되어있으니까요. ^^

원문 : Ext4 분석(Extended File System 4 알아보기)

M. Tim Jones, Consultant Engineer, Emulex Corp.

원문 게재일 : 2009 년 2 월 17 일
번역 게재일 : 2009 년 6 월 02 일

Extended File System 4 또는 ext4는 차세대 저널링 파일 시스템이며 이전 파일 시스템인 ext3과의 호환성도 제공합니다. ext4는 아직까지는 표준이 아니지만 앞으로 대부분의 Linux® 배포판에서 후속 기본 파일 시스템으로 채택될 것입니다. 이 기사에서는 ext4에 대해 설명한 후 ext4가 많은 사용자의 새로운 파일 시스템으로 자리 잡게 될 것으로 예상되는 이유를 살펴봅니다.

Linux 커널이 새롭게 발표될 때마다 몇 가지 뛰어난 기능이 포함되어 있듯이 이번 12월에 발표된 2.6.28 릴리스에도 우수한 기능이 포함되어 있다. 이 릴리스는 현재 개발 작업이 한창 진행 중인 Btrfs와 같은 여러 가지 우수한 기능 중에서 안정적인 ext4 파일 시스템이 최초로 적용된 릴리스이다. 이 차세대 Extended File System에서는 확장성과 신뢰성이 향상되었으며 뛰어난 새 기능도 추가되었다. Ext4는 1TB 디스크를 최대 백만 개까지 사용할 수 있는 파일 시스템으로 확장할 수 있다.


 HDD 기반의 파일 시스템을 사용하는 사람이라면 그것이 개인용 PC든, 서버든 File system 문제로 장애를 격은적이 있을겁니다. 누구나 알고 있는 MS Windows booting중에 나오는 파란 화면의 Disk check라든지... 운영중이던 Server의 Disk가 일부 손실된다던지... 제게 Oracle 관리에 대해서 가르쳐주시던 모 강사님은 미러링에 실시간 백업까지 하던 시스템의  스토리지가 동시에 고장나는 일도 겪어보셨다고 하시더군요. 백업은 몇번을 해도 낭비가 아니라는...

그러고보니 주제와는 좀 벗어난 얘기를 하고 있군요. 본론으로 돌아와서요. 시스템의 전원 문제나 비정상 종료 같은 장애시에 파일 시스템의 무결성을 제공하는 저널링 파일 시스템에 대한 IBM DeveloperWorks의 문서를 소개합니다. 예전에도 ext4였나요? 저널링 관련 얘기가 나온 문서를 소개한 적이 있는데요. 이건 비교적 최근 문서입니다. 한번 보세요~

원문 : 리눅스 저널링 파일 시스템 분석

 
최근에 저널링 파일 시스템이 신비의 대상으로 여겨져 연구 주제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하지만 오늘날 저널링 파일 시스템(ext3)은 리눅스(Linux®)에 기본으로 탑재되어 있습니다. 저널링 파일 시스템 이면에 숨겨진 아이디어를 찾아 시스템 전원 문제나 비정상 종료 과정에서 더 나은 무결성을 제공하는 방법을 익힙시다. 현재 사용 중인 다양한 저널링 파일 시스템을 익히고 차세대 저널링 파일 시스템도 미리 살펴봅시다.

저널링 파일 시스템을 다양한 방식으로 정의할 수 있지만 요점만 간략하게 정리해보자. 저널링 파일 시스템은 부트 시점에서 파일 시스템 일관성 검사를 위해 fsck가 돌아가는 모습에 진절머리가 난 사람을 위한 고안물이다(저널링 파일 시스템은 결함에 회복력을 보이는 파일 시스템이라는 아이디어에서 나왔다). 저널링 기능이 없는 전통적인 파일 시스템을 부적절하게 종료하면, 운영체제가 이를 감지해 fsck 유틸리티를 사용해 일관성 검사를 수행한다. 이 유틸리티는 파일 시스템을 탐색해(상당히 오랜 시간이 걸릴 수도 있다) 안전하게 교정할 수 있는 문제점을 수정한다. 어떤 경우에는 파일 시스템이 심하게 망가졌기에, 운영체제가 알아서 단일 사용자 모드로 진입한 다음에 사용자가 복구 과정을 진행하도록 만드는 경우도 있다.

 아~ 이번엔 리눅스 사용자를 위한 문서입니다. 리눅스 파일 시스템으로 많이 쓰고있는 ext3의 최신 버전인 ext4가 나왔네요. 까마득하게 모르고 있었는데, 이번에 IBM DeveloperWorks의 문서를 보고야 알았습니다. ^^;

 초 보 리눅서라면 거의 누구나 설치해보는 RedHat 계열의 리눅스 배포판을 설치하면 ext3라는 파일 시스템을 주로 사용하죠. 다양한 파일 시스템이 존재하는 가운데 가장 대중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ext3 파일 시스템의 최신 버전인 ext4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는 문서입니다.

물론 아직은 불안정한 상태이기에 사용에는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커널 컴파일 등의 추가 작업이 필요할 수도 있기에 ext4의 도입은 아직은 주의해야할 문제라고 하네요. 그리고 혹시 테라바이트 단위의 큰 파일을 다뤄야하는 시스템이라면 아직은 ext4보다는 xfs, jfs 등의 파일시스템을 고려하는게 좋을것 같습니다.

원문 : ext4로 이주하기(최신 리눅스 파일 시스템을 위한 준비)


ext4는 오랫동안 자리를 지켜온 리눅스(Linux®) 파일 시스템의 최신 버전이며, 직전 버전 만큼이나 중요하고 인기가 높으리라는 예상을 합니다. 리눅스 시스템 관리자로서, 여러분은 ext4의 장단점과 이주하기 위한 기본 절차를 숙지하고 있어야 합니다. 이 기사는 ext4를 채택할 시기, ext4를 위한 전통적인 파일 시스템 유지 관리 도구 활용법, 파일 시스템 성능을 최대로 이끌어내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