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이로스는 메모리 기반 디비라서 빠르다. 그런데 이 메모리가 스왑되면 일반 관계형데이타베이스와 다를것이 없어지므로 카이로스가 사용하는 메모리는 스왑되지 않도록 해주는 것이 좋으며 이를 핀 메모리(맞나?) 설정이라고한다.

우선 설정 파일( kairos.properties )을 열어서 핀 메모리 설정값이 on으로 되어있는지 확인한다. 아마도 되어있을것이다.

su - (root 권한이 필요하다)

ln-s libcci.so /usr/lib64/libcci.so

카이로스 실행 파일이 있는 디렉토리로 가서 소유자를 바꿔준다.
chown root kairos
chmod 4755 kairos

여기까지 진행한뒤에 카이로스를 기동시키면 핀 메모리 설정이 잘 되었는지 메세지가 출력될것이다.

iPhone 에서 작성된 글입니다.

'IT 기술 > Database' 카테고리의 다른 글

Tmax Day 2013 참석  (0) 2013.09.10
PGXC-Tools : Postgres-XC를 좀더 편리하게  (0) 2013.06.05
PostgreSQL 9.3의 신기능 : Materialized view  (0) 2013.03.08
Postgres-XC 위키 이전  (0) 2013.02.19
PostgreSQL 9.2.2 Release!!  (0) 2012.12.14
그동안 오픈소스 ETL툴인 Pentaho kettle을 업무에 도입하기 위해 그리고 개인적으로 공부를 해왔었는데, 큰 문제를 만나게 되었습니다. 바로 지리공간정보를 다루게 되니... 데이터형 문제가 발생하더군요. 그래서 구글님께 물어봤더니 답을 주시더군요.

GeoKettle입니다.

www.spatialytics.org

이 툴은 오픈소스 ETL 툴인 Pentaho Kettle에 지리정보를 다룰 수 있도록 - spatial data type을 인식하도록 플러그인( 이게 맞는지는 아직 확인 중입니다. )이 미리 설정되어 있습니다.

PostGIS가 설치된 PostgreSQL에서 테스트 해본 결과 100만건의 geometry형의 data를 전송하는데 별다른 문제는 없었습니다. 160초 가량 걸리더군요. 원본 디비가 개인 PC라서 좀 느린게 아니었을까 생각합니다.

한가지 단점이라면 Big data 관련 기능이 추가된 Kettle 4.3버전이 아니라 4.2 버전을 기반으로 했는지 Big data관련 기능이 일부 빠진것 같더군요. 이 부분은 곧 해소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더 자세한 기능 분석은 좀 더 사용해본 뒤에 작성하겠습니다.

iPhone 에서 작성된 글입니다.
지난주에 테스트 용도로 Oracle 11g R2를 설치한 적이있다. 설치는 참 오랫만이었는데, 기본 옵션을 보니 Spatial이 설정되어있었다. 음 지리정보를 이용한 서비스가 많아져서인지 이게 언제부터 기본으로 지원되었던거지?

음 공부를 소흘히하면 안되겠어.

iPhone 에서 작성된 글입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