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greSQL에서 Oracle RAC와 같이 모든 노드에서 읽고 쓰기를 할 수 있는 클러스터를 구축하고자한다면 Postgres-XC를 검토하게 될 것이다. 물론 다른것도 존재하겠지만 이 녀석이 가장 좋아보인다.

관련 자료 검색 중에 PGXC-Tools라는걸 발견했다. Koichi suzuki라는 분이 만든 오픈소스 툴로 Postgres-XC를 운영하는데 유용한 스크립트/프로그램 모음이라고 한다.

웹사이트 : http://github.com/koichi-szk/PGXC-Tools

아래 사진은 github에서 툴에 대해서 설명한 부분을 캡쳐한 것이다.




iPhone 에서 작성된 글입니다.
오픈소스 데이타베이스 PostgreSQL을 기반으로 분산 처리가 가능한 cluster db를 만드는 Postgres-XC project 홈페이지에 갔다가 위키가 이전된걸 발견했다.
소스포지의 위키에서 아래의 링크로 바꼈다는 안내되어있다. 소스포지의 위키 서비스가 종료되어서 이전했다고 한다.

http://postgresxc.wikia.com/wiki/Postgres-XC_Wiki


iPhone 에서 작성된 글입니다.
지난번에 Postgres-XC 1.0.0에 대해서 글을 올렸는데 아직 문제가 좀 있다고 했었죠 이번에 1.0.1 버전을 테스트한 결과를 정리해서 올립니다. 짧게 얘기하면 "좋아졌다"입니다. ^^/


• 1.0.1 버전 개요
Postgres-XC 1.0.1은 PostgreSQL 9.1.5를 기반으로 만들어졌습니다.


• 지난버전 테스트 결과와 다른 점
1. 관리 툴
pgAdmin III 1.16.0 버전을 사용하면 오류메시지없이 접속됩니다. 한가지 아쉬운점이라면 dbms 버전 정보에는 PostgreSQL 9.1.5로 표시된다는 점입니다.

2. 트랜잭션 문제 해결
함수 내부에서 "select for update"로 데이터를 가져와서 다이나믹쿼리로 update문을 실행하면 일부 세션에서 데이터를 잘못가져오는 문제가 해결되었습니다.
1번 세션에서 begin 명령으로 트랜잭션을 시작한 후, 해당 함수를 실행한 뒤에 2번 세션에서 함수를 실행했을때 1번 세션의 트랜잭션이 종료된 후 update된 값을 "select fir update"로 가져와서 update해줍니다. 정상적으로 작동한다는 얘기입니다.
제 설명이 좀 복잡한가요? 회사에서 아이폰으로 작성하는거라 좀 시간도 부족하고 글 쓰기도 좀 힘드네요. 다음에 코드와 함께 집에서 다듬어서 적성하겠습니다.



iPhone 에서 작성된 글입니다.
Postgres-XC로 시스템을 구축하려고 공부 중입니다. 아직 보기 좋게 정리는 못 했고 우선 간단히 장단점을 적어보려합니다.
회사에서 외부 사이트를 거의 막아놔서 아이폰에서 작성하는거라 글로만 설명하는 점 이해해주시길 바라며...

1. 장점
1.1. Open source라 구축 가능한 인력과 시간, 그리고 장비만 있으면 소프트웨어 라이선스 비용은 들지 않는다.

1.2. 읽기 및 쓰기 부하 분산이 가능하다.

1.3. Oracle RAC처럼 어플리케이션에서는 읽고 쓰는것을 구분하여 디비 접속을 하지 않아도 된다. 전체 노드가 읽기 및 쓰기가 가능하다.

2. 단점
2.1. 1.0 버전이 출시된지 몇달되지 않아서 구축 사례와 한글로 된 자료 등이 거의 없다.

2.2. PostgreSQL 9.1.x 버전에서만 사용 가능하다. 고로 이전 버전을 쓰고 있다면 업그레이드를 해야한다.

2.3. Trigger를 지원하지 않는다.
현재로는 지원하기 어렵다고한다.

2.4. 관리 툴의 부재
기존의 pgAdmin으로는 접속시 오류가 발생하여 관리가 불가능하다.

2.5. 트랜잭션의 문제
펑션 내부에서 dynamic query를 이용하여 update를 하도록 만들어서 여러세션에서 사용했을때, 트랜잭션을 걸어서 사용하면 일부 update문이 실행되지 않는 문제 발생.
설정의 문제인지 버그인지 확인 중입니다.

그런데 위의 문제로인해서 일단 업무에 Postgres-XC을 도입하는것은 보류한 상태입니다.


iPhone 에서 작성된 글입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