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IX 혹은 Linux 서버를 운영하는 관리자라면 객관적인, 혹은 보고서 작성을 위한 성능 분석 결과가 필요하게 된다. 현재 운영체제 성능 분석 및 모니터링을 위한 도구들이 꽤 많이 나와있다. 하지만 그 중에서도 공짜로 사용할 수 있는 툴들에 대해서 얘기해보고자 한다. kSar와 nmon analyser라는 툴을 들어보셨을거다. 각각 sar와 nmon으로 만들어진 log 파일을 분석하는 툴이다. 자세히 얘기해보자.

1. kSar
 지인의 소개로 알게된 kSar는 sar라는 툴로 저장한 서버의 성능 관련 data를 분석하기 위한 GUI 툴이다. 소스포지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으며, 링크는 http://sourceforge.net/projects/ksar이다. BSD 라이선스 정책을 따르며, 현재 최신 버전은 5.0.6이다.
 실행시키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뜬다.



2. nmon analyser
 nmon analyser는 nmon으로 저장한 서버 성능 데이타를 분석하기 위한 툴이다. 마이크로소프트 엑셀에서 해당 엑셀 파일을 열어서 nmon log file을 분석하는 방식으로 되어있다. 그래프로 보기 좋게 분석되어 나와서 나는 주로 nmon과 nmon analyser를 사용한다. nmon과 nmon analyser는 무료로 사용할 수 있기는 하지만 엑셀이라는 유료 소프트웨어를 이용해야만 결과를 알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아마... 어딘가에 엑셀외의 다른 도구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을지도 모르지만... 아직 찾지 못 했다.

 nmon analyser는 이전에도 소개한 적이 있다. 아래의 글들을 보면 nmon analyser가 어떤 프로그램인지 알 수 있을것이다.
2009/04/10 - [Operating System] - NMON, NMON Analyser를 이용한 시스템 성능 리포트 만들기
2011/04/07 - [Operating System] - nmon analyser 3.3.f가 나왔네요.




 나이를 한살 한살 더 먹어가면서 뭔가 잘 까먹는것 같다. 나의 전문 영역이라고( 이 말에 짱돌을 들어올리신 분들이 계실것이다... 제가 하고 있는것 중에서 그나마 잘 알고있는... 이라는 뜻.... 아시죠... 돌 내려놓으세요. 어르신들... 자자 좋게좋게... ^^; ) 생각하는 오라클에 대한 내용도 해가 갈수록 가물가물해지는 내용이 많고 새로운 기법과 기술들이 나날이 등장하고 있다.(사실은 현재 재직중인 곳에서 메인DB를 Oracle에서 Tibero로 전환 한 뒤에 더더욱 망각의 속도가 빨라지고 있는듯하다.) 그래서 2007년에는 오라클 DBA 과정을 통채로 한번 더 수강하면서 복습했었고, 종종 세미나와 학원 강의를 듣고 있다. 물론 비용이 많이 드니까 자주 들을 수 없다는게 단점이다.
 요즘 책도 잘 나오고, 어느정도 경력도 있으니 알고지내는 전문가도 많을테고, 혼자 혹은 아는 사람들이랑 스터디를 하면 되지 않느냐고 얘기하신다면... 본인의 게으름으로 인해 그건 좀 힘들다는 거다. ㅋㅋㅋㅋ
그리고 전문가들은 다들 바빠서 맨입으로는 모시기 힘들더라는... ㅋㅋㅋㅋ

 요즘 토요일이면 엑시엄에서 진행하는 세미나 형식의 강의를 듣고있다.  제목들만 살펴봐도 참 듣고 싶어지는 수업들이다.
 대용량 데이타베이스 아케텍쳐
 데이타베이스 관리를 위한 PL/SQL
 AWR을 이용한 고성능 데이타베이스 튜닝
 초보자를 위한 데이타 모델링 2부
 그 중에서도 "AWR을 이용한 고성능데이타베이스 튜닝" 강의를 듣고 있다. 그동안 몰랐던 Oracle 10g의 속 내용과 세월속에 점점 잊어가고 있던 Oracle 내부구조를 다시 학습하는 기회가 되어서 참 좋다.
 문제는 이론 수업이라서 내가 알아서 부지런히 실습을 해야하는건데, 실습환경 구축이 아직 안끝났다는... ㅜㅜ (이런 벌써 강의가 중반부를 넘어서고 있는데)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아 웃자 힘들땐 웃어야해~~~

 어떤 강의냐고 물어보신다면 아래의 책을 집필한 저자중 한분이 강의를 하신다는거. 강의 내용은 "오라클 AWR을 이용한 고성능 데이타베이스 튜닝"이라는 책의 내용을 기반으로 한다는 거. 이 책의 목차를 보면 알게되겠지만, Oracle 10g의 내부 구조와 락, 래치에 대한 내용과 AWR을 이용하여 상태 분석 및 튜닝에 대한 내용이 주를 이룬다고 보면된다.

강의 준비를 열심히 하시고, 지각하는 사람이 있으면 남아서 챙겨주는 아름다운 마음까지...

고성능데이터베이스튜닝
카테고리 컴퓨터/IT > 데이터베이스 > DB
지은이 김지한 (비팬북스, 2010년)
상세보기
오라클 AWR을 이용한 고성능 데이터베이스 튜닝
국내도서>컴퓨터/인터넷
저자 : 김지한,황오현,장효성
출판 : 비팬북스(러닝스페이스) 2010.11.10
상세보기

왜 책 정보가 두줄이냐고 궁금해할것 같은데, 아랫칸은 인터파크도서 정보이다. 윗칸은... 잘 기억이 나지 않는다. 아마도 다음 책 정보였던거 같은데...

 그리고 지난 주말에 집에서 사용중인 PC에 가상머신으로 리눅스 설치 완료. Oracle VirtualBox를 설치했는데, 이거 쓸만한듯. 공짜지만 될거 다 되고...
암튼 현재 실습환경 구축 중....
얼른 이것저것 질러봐야겠다. 아 배고프다. 퇴근시간이 다가오는구나. 집에 도착하면 책이라도 봐야겠다.
 요즘 AIX 서버의 성능 문제에 대해서 자료를 만들고 있는데 nmonanalyser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AIX 전문가가 아닌 제게는 그래프까지 만들어주는 고마운 존재이죠. 오늘 nmonanalyser를 쓰려다가 갑자기 nmonanalyser도 버전업이 되지 않았을까하는 생각에 홈페이지에 가보니 버전업이 되어있네요.(2009년 12월 16일자입니다.)
기존에 사용하던 버전이 3.3.A인데 3.3.E 버전이 올라와 있네요. 즉시 다운받아서 사용 중입니다. ^^
nmonanalyser 사용하시던 분들이라면 다운 받으세요.

nmonanalyser다운받으러 가기

간단한 사용법은 제가 예전에 작성한 글을 참고하세요.
2009/04/10 - [Operating System] - NMON, NMON Analyser를 이용한 시스템 성능 리포트 만들기

 최근에 회사에 신청했던 [Blog2Blog 자바 성능을 결정짓는 코딩 습관과 튜닝 이야기]를 소개하려합니다. 회사돈으로 산거라 다른책 읽을때보다는 서둘러서 읽고 있습니다. ^^;
아직 다 읽지는 못했지만 저같은 어중간한 레벨의 개발자들에게 필요한 내용들을 찾아보기 쉽게 정리해놓은 책이라고 생각합니다. 개발에서 손뗀지가 일년 정도 되다보니 기억나지 않는게 너무 많더군요. ^^;

자바 성능을 결정짓는 코딩 습관과 튜닝 이야기
카테고리 컴퓨터/IT
지은이 이상민 (한빛미디어, 2008년)
상세보기

아래는 이 책을 읽은 분이 책 내용중에서 오류를 찾아내서 정리해 놓은 블로그 내용입니다. 저도 읽으면서 찾아봐야 겠네요.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