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랫만에 들른 PostgreSQL 홈페이지 첫 화면에서 15 버전이 정식 배포되었다는것을 알게 되었다.

Release note : https://www.postgresql.org/about/news/postgresql-15-released-2526/

 

PostgreSQL 15 Released!

**October 13, 2022** - The PostgreSQL Global Development Group today announced the release of [PostgreSQL 15](https://www.postgresql.org/docs/15/release-15.html), the latest version of …

www.postgresql.org

WAL file 압축, Window function 성능 향상, json format의 로그 지원 등등 여러가지가 설명되어 있는데, 내 시선을 강탈한건 바로 "MERGE 구문 지원"

PostgreSQL 15 includes the SQL standard MERGE command. MERGE lets you write conditional SQL statements that can include INSERT, UPDATE, and DELETE actions within a single statement.

 

 Oracle로 DBA 생활을 시작해서인지 PostgreSQL에서는 merge 구문을 지원하지 않는 점이 참 아쉬웠었다. 그동안 PostgreSQL에서는 with 구문을 이용해서 insert와 update를 한번에 처리했었지만, 이제 다른 선택지가 생겼으니 잘 돌아가는지 테스트 해봐야겠다. 곧 테스트할 시간이 생기겠지... 지금은 안돼... 힘들다.

 

https://www.postgresql.org/docs/15/sql-merge.html

 

MERGE

MERGE MERGE — conditionally insert, update, or delete rows of a table Synopsis [ WITH with_query [, ...] ] MERGE …

www.postgresql.org

 

드디어 PostgreSQL 9.2.2가 나왔습니다.
큰 문제들은 이제 다 정리된듯 합니다.

http://www.postgresql.org/about/news/1430/

iPhone 에서 작성된 글입니다.
Postgres-XC로 시스템을 구축하려고 공부 중입니다. 아직 보기 좋게 정리는 못 했고 우선 간단히 장단점을 적어보려합니다.
회사에서 외부 사이트를 거의 막아놔서 아이폰에서 작성하는거라 글로만 설명하는 점 이해해주시길 바라며...

1. 장점
1.1. Open source라 구축 가능한 인력과 시간, 그리고 장비만 있으면 소프트웨어 라이선스 비용은 들지 않는다.

1.2. 읽기 및 쓰기 부하 분산이 가능하다.

1.3. Oracle RAC처럼 어플리케이션에서는 읽고 쓰는것을 구분하여 디비 접속을 하지 않아도 된다. 전체 노드가 읽기 및 쓰기가 가능하다.

2. 단점
2.1. 1.0 버전이 출시된지 몇달되지 않아서 구축 사례와 한글로 된 자료 등이 거의 없다.

2.2. PostgreSQL 9.1.x 버전에서만 사용 가능하다. 고로 이전 버전을 쓰고 있다면 업그레이드를 해야한다.

2.3. Trigger를 지원하지 않는다.
현재로는 지원하기 어렵다고한다.

2.4. 관리 툴의 부재
기존의 pgAdmin으로는 접속시 오류가 발생하여 관리가 불가능하다.

2.5. 트랜잭션의 문제
펑션 내부에서 dynamic query를 이용하여 update를 하도록 만들어서 여러세션에서 사용했을때, 트랜잭션을 걸어서 사용하면 일부 update문이 실행되지 않는 문제 발생.
설정의 문제인지 버그인지 확인 중입니다.

그런데 위의 문제로인해서 일단 업무에 Postgres-XC을 도입하는것은 보류한 상태입니다.


iPhone 에서 작성된 글입니다.


Cluster/HA DBMS 환경을 구성하려고 보니 DBMS는 오픈소스로 구축 가능하지만, 정작 클러스터 소프트웨어는 상용밖에 몰라서... 혹시나 하고 검색을 해봤더니 LCMC라는 툴이 나왔다.
오픈소스이고 Pacemaker의 GUI 관리툴인듯하다. 자바로 개발되어있다.
흥미로운 툴인듯...... 자세한 내용은 집에가서 가상 머신으로 한번 돌려보고...

iPhone 에서 작성된 글입니다.
PostgreSQL을 사용하다보니 같은 DB내에서 혹은 다른 DB에 존재하는 테이블의 view를 만들어놓고 사용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PostgreSQL의 디비링크가 아주 불편하기 때문이기도하고, DA분이 너무 정규화를 잘 해놓았기 때문이기도 하다.)

PostgreSQL에서 처음에 뷰를 만들었을때...... 신기하게도 select만 가능한지 몰랐었다. update문을 실행해보고서야 곤란한 문제가 생겼다는것을 알게되었고, 곧바로 구글 검색과 메뉴얼 검색을 통해서 rule이라는걸 찾게되었다.

rule이란 걸 이용하면 뷰에서 DML문이 실행되면 해당 rule에 맞는 부분만 실행이 되더군요.

예를들어서 update 구문에 대한 rule을 만들면서 "update emp set ename where empno = new.empno"라고 쿼리문을 설정해주면 이 뷰에서는 ename 컬럼만 수정이 가능해집니다.

재밌는 기능이죠. 좀더 자세한 기능과 예제는 다음에 정리해서 올리겠습니다.

iPhone 에서 작성된 글입니다.
 SongBird라는 Open source software가 공개되었습니다. 버전은 1.0입니다.
XUL 기반으로 gecko 엔진의 브라우져를 내장하고 있는 음악 재생기입니다.

파이어폭스처럼 플러그인을 설치하여 다양한 기능을 추가하실 수 있습니다.
아래의 영문은 송버드 웹사이트(http://getsongbird.com)의 첫 화면에 있는 간략한 소개글을 퍼온 것입니다.

The Open Music Player

Songbird is an open-source customizable music player that's under active development.

We're working on creating a non-proprietary, cross platform, extensible tool that will help enable new ways to playback, manage, and discover music. There are lots of ways to contribute your time to the project. We'd love your help!

There are several features we're proud of, but we'll be the first to admit that others need ironing out, are experimental, or are just plain missing. There's still a lot to do.



다운로드 받으러 가기!!

 mash tape란 addon이 기본적으로 설치되어 있는데, 아래의 화면 처럼 재생하는 음악에 해당하는 이미지를 flicker에서 검색해서 보여준다고 합니다.























 아래의 이미지는 SongBird를 설치하면 기본적으로 설정되어있는 기본화면입니다. iTunes, Winamp 등과 비슷한 느낌이네요.

 2008 Open Source Symposium 행사가 11월 25일(화) 12시부터 18시 30분까지 코엑스 인터콘티넨탈 호텔 하모니볼륨 전관에서 진행됩니다. 한국 레드햇과 다우기술이 주관하는 행사이며 JBoss와 RHEL과 같은 RedHat의 제품과 국산 오픈소스 DBMS인 큐브리드 등의 세션도 준비되어 있네요. 평일에 하는것만 아니면 한번 가보는건데 참 아쉽습니다.
 경품이 무려 스노우 보드 데크라는...


등록하러가기
 상용 소프트웨어를 대신해서 사용할 수 있는 공개 소프트웨어를 소개하고자 합니다. 물론 상용 소프트웨어에 비해서 기능에 제약이 있을 수 도 있고 UI(User Interface)[각주:1]가 좀 불편하기도 하지만 라이센스 걱정 없이 사용할 수 있는 좋은 프로그램들이 많이 공개되고 있습니다. 제가 사용하고 있는 혹은 쓸만한 공개 소프트웨어를 소개하고자 합니다.

 공개 소프트웨어 소개, 첫번째는 GNU Image Manipulation Program. GIMP입니다.
www.gimp.org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으며, Linux, Mac OS X, MS Windows, FreeBSD, SUN Open Solaris에서 사용가능합니다. 현재 2.4.6 버전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습니다.

 윈도우에서 이미지를 편집할때 대부분의 사람들이 간단하게는 윈도우에 번들로 설치되는 "그림판"이나 해적판으로 설치한 "포토샵"을 사용하죠. 회사 업무나 작품을 위해서 특정 기능을 사용해야하는 사용자가 아니라면 GIMP만으로도 충분한 효과를 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왼쪽부터 MS Windows, Mac OS, Linux에서의 실행된 모습입니다.

 지원 가능한 이미지 포멧으로는 JPEG, GIF, PNG, TIFF 등이 있으며 플러그인을 통해서 더 많은 이미지 포멧을 지원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또한 FTP, HTTP, SMB,SFTP/SSH 등을 통한 파일 저장 및 편집도 가능합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위의 이미지는 제 PC에 설치된 2.4.2 버전의 GIMP가 실행될때의 첫 화면입니다. 각종 플러그인을 로딩하고 실행을 하기 직전이네요.
제가 아주 간단한 수준의 이미지 편집만 할 뿐이라서 플러그인에 대해서는 다음에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행복한 금요일 하루 보내시길...
  1. 사용환경이라고 할까요? 사용자가 해당 프로그램에 명령을 내려서 어떤 작업을 수행 할 수 있는 방법이라고 하면 어려운 설명일까요? 예를 들면 GUI라고 하면 MS Windows나 Apple의 Mac OS, UNIX환경의 X-Window 같이 그래픽으로 표시되는 사용자 환경이죠. [본문으로]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