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 소개할 글은 IBM DeveloperWorks의 Linux관련 문서들 중에서 커널 관련 문서입니다.
리눅스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커널 부분의 시스템 호출 인터페이스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습니다. "조엘 온 소프트웨어"로 낯익은  박재호님과 이해영님이 번역을 하셨네요.


원문 : 리눅스 시스템 호출을 활용한 커널 명령 (SCI 탐험과 독자적인 시스템 호출 추가하기)


리눅스(Linux®) 시스템 호출은 우리가 매일 사용하는 기능입니다. 하지만 시스템 호출이 사용자 영역에서 커널 영역으로 어떻게 넘어가는지 알고 있나요? 리눅스 시스템 호출 인터페이스(SCI, System Call Interface)를 탐험하고 새로운 시스템 호출을 추가하는 방법(과 다른 대안)을 배우고, SCI 관련 유틸리티를 살펴보겠습니다.

리눅스 시스템 호출은 우리가 매일 사용하는 기능이다. 하지만 시스템 호출이 사용자 영역에서 커널 영역으로 어떻게 넘어가는지 알고 있는가? 리눅스 시스템 호출 인터페이스(SCI, System Call Interface)를 탐험하고 새로운 시스템 호출을 추가하는 방법(과 다른 대안)을 배우고, SCI 관련 유틸리티를 살펴보자.

이 기사에서, 리눅스 SCI를 탐험하고, 2.6.20 커널에 시스템 호출을 추가하는 방법과 이 함수를 사용자 영역에서 사용하는 방법을 보여줄 계획이다. 또한 시스템 호출 개발에 유용한 몇몇 함수와 시스템 호출 대안을 살펴보겠다. 마지막으로 프로세스 사용을 추적하는 기능과 같이 시스템 호출과 관련이 있는 몇몇 종속 메커니즘을 살펴본다.


 오랫만에 IBM DW에 올라온 글을 소개하려합니다. ^^
이번엔 리눅스 커널에 관한 내용을 소개한 글입니다. "리눅스 커널 해부"라는 제목의 한글로 번역된 팀 존슨(Emulex corp.)의 글입니다.

600만 행이 넘는다는 리눅스 커널을 하나의 문서에서 다 분석한다는 것은 무리가 있죠. ^^  이 문서도 커널을 한방에 끝장낼 수 있는 내용이 나오는건 아닙니다.
한번 읽어보고, 저자가 소개한 참고 문서들도 읽어보면 어느정도 윤곽이 잡힐것 같네요. 음...
근데, 늘상 느끼는 문제이지만 부족한 영어 실력이 원망스럽습니다.

원문 : 리눅스 커널 해부 (한글)

리눅스(Linux®) 커널은 거대하고 복잡한 운영체제의 핵심이며, 커다란 몸집에도 불구하고 하위 시스템과 계층 구조를 사용해서 조직화되어 있습니다. 이 기사에서는 리눅스 커널의 일반적인 구조를 살펴보고 주요 하위 시스템과 핵심 인터페이스를 파악합니다. 좀더 깊이 파고 들고 싶다면 다른 IBM 기사를 읽어보세요.

이 기사의 목표는 리눅스 커널을 소개하고 아키텍처와 주요 컴포넌트를 살펴보는 데 있다. 우선 리눅스 커널 역사부터 간략하게 짚어보기 시작해 다음으로 3만 피트 상공에서 리눅스 커널 아키텍처를 살펴보고, 마지막으로 주요 하위 시스템을 검토하겠다. 리눅스 커널은 코드가 600만 행이 넘으므로 소개글을 너무 장황하지 않게 줄였다. 좀더 깊이 파고 들고 싶다면 참고자료를 살펴보자.


 IBM DeveloperWorks에 리눅스 커널 관련 문서가 올라와서 소개하고자 한다.
커널의 구조에 대해서 간략하게 설명한 내용으로 읽어볼만 하다고 생각합니다.

원문 : 리눅스 커널 해부 (한글)

 아마도 커널 관련 글이 이전에도 몇개더 있었던것 같은데 정확하게 기억은 나지 않네요. 다만, 이번 문서가 제일 보기가 쉽다는 느낌이 듭니다. 제가 아직 커널쪽은 잘 몰라서요.   :)
커널쪽을 잘 모르는 제가 보기에 편하게 느껴지면 다른 초보분들이 읽기에도 적당할거라 생각합니다.

꾸준하게 다양한 문서를 번역해서 올려주셔서 감사할 따름입니다.

 아래의 파란 박스안의 내용은 문서의 앞부분만 가져온 것입니다.

난이도 : 중급

M. Tim Jones, Consultant Engineer, Emulex Corp.

2007 년 8 월 07 일

Linux® 커널은 크고 복잡한 OS의 핵심이고, 거대한 반면 하위 시스템과 레이어의 관점에서 볼 때 잘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글에서, Linux 커널의 일반적인 구조를 설명하고, 주요 하위 시스템과 핵심 인터페이스들을 살펴봅니다. 가능하다면 다른 IBM 기술자료 링크를 통해서 자세한 내용을 공부하시기 바랍니다.

이 글에서는 Linux 커널을 소개하고 아키텍처와 주요 컴포넌트를 설명하고자 한다. Linux 커널 역사를 간단히 살펴보고, Linux 커널 아키텍처를 자세히 연구하고, 마지막으로, 주요 하위 시스템을 설명할 것이다. Linux 커널은 6백만 이상의 코드 라인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것을 모두 다 설명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