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 WWDC 2011에서 스티브 잡스가 소개한 iCloud라는 서비스가 사람들의 입에 오르내리고 있습니다. 이 iCloud라는 서비스의 뒤에는 현재 여러 업체에서 구축 및 운영중인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 기술이 적용되어 있지요.
 파이어폭스 북마크를 정리하던 중에 저장되어있던 웹 페이지 하나가 눈에 들어왔습니다. 제목은 "클라우드 환경에서 워크로드 조정하기"군요. 음... 아직 클라우드 기반의 서비스를 운영하지는 않아서 써먹을곳은 없지만 그래도 미리 알아두면 좋을거라 생각이 되네요... 그럼 행복한 6월 보내시길...


원문 보기

클라우드 환경에서 워크로드 조정하기

임계값 정책을 사용하여 워크로드 수요를 동적으로 조정하기

Judith Myerson, 시스템 엔지니어 겸 아키텍트

요약: 많은 기업과 정부기관에서는 클라우드 서비스에서 운영상의 가용성과 보안을 지속적으로 제공하기를 요구합니다. 이러한 요구를 실현하려면 클라우드 서비스에 애플리케이션을 테스트하고 프로덕션하기 위한 자원 관리 임계값 정책이 있어야 합니다. 이 기사에서는 임계값 정책의 개념과 이러한 정책이 클라우드 환경에서 워크로드 수요를 동적으로 조정하는 데 어떻게 도움이 되는지 설명합니다.


 최근 들어 클라우드 컴퓨팅에 대한 관심이 많아졌고, 그래서인지 Hadoop(하둡)에 관한 글도 예전보다는 자주 보이는것 같습니다. 최근엔 한글로 된 책도 나왔더군요.
HADOOP 완벽 가이드
카테고리 컴퓨터/IT
지은이 톰 화이트 (한빛미디어, 2010년)
상세보기

 최근에 삼성 SDS에서도 Hadoop 개발 가능자를 구인하는걸 본적이 있습니다. 아마 Private Cloud System을 구축하려는 고객사들이 점점 늘어나는게 아닌가하는 추측을 해봅니다. 최근에 만난 SI 업체의 영업 담당자의 얘기를 들어보니 모 통신사에서 사내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을 구축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했었다고 하던데, 앞으로 배워두면 경력에 큰 도움이 될것 같다고 생각합니다.
 이런 저런 뉴스들을 접하던 중 한국 IBM DeveloperWorks에 Hadoop에 관한 글이 있더군요. 한번 읽어보면 좋을것 같아서 소개합니다.

제목 : Hadoop을 이용한 분산 데이터 처리, Part 1: 시작
부제 : 단순 클러스터 설치 및 구성하기

Hadoop은 일부 대형 검색 엔진에서 데이터 축소를 위한 핵심 기능으로도 사용되고 있기는 하지만 분산 데이터 처리를 위한 프레임워크라는 설명이 더 잘 어울린다. 단순한 데이터가 아니라 검색 엔진에 필요한 데이터 및 검색 엔진에서 수집한 데이터 등과 같은 대용량 데이터의 분산 처리에 적합한 프레임워크이다. 많은 애플리케이션에서는 분산 프레임워크인 Hadoop을 통해 병렬 데이터 처리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 기사는 Hadoop 및 아키텍처를 소개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간단한 Hadoop 설정을 보여 주기 위한 것이다. 참고자료 섹션에서 Hadoop 아키텍처, 컴포넌트 및 작동 원리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볼 수 있다. 해당 면책사항을 검토한 후 Hadoop 설치 및 구성 과정을 살펴보자.


 한국 IBM DeveloperWorks에 올라온 글 중에서 [오픈 소스 클라우드 분석]이라는 글을 소개합니다.
이 글은 요즘 구글, IBM, MS, 아마존 등에서 시장 선점을 하려 애쓰는 클라우드 컴퓨팅을 오픈소스로 구현된 프로그램들을 이용해서 설명하고 있습니다. 많이 알려진 Xen이나 KVM 등도 거론되고 있네요.
기본적인 가상화에 대한 설명과 클라우드 시스템에 대한 내용이 담겨있습니다. 상세한 설치 및 운영에 대한 내용을 기대하신다면 실망하실 수 있습니다. 개념만 알아본다고 생각하시길...

원문 보기 : 오픈 소스 클라우드 분석 (부제 :  I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를 위한 빌딩 블록)

요약: 이제 더 이상 신생 기술이 아닌 클라우드 컴퓨팅은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고 개발하는 방법을 근본적으로 바꿔 놓은 유용하고 중요한 기술입니다. 예상대로 Linux®와 오픈 소스가 클라우드의 기반(공용 및 개인용 인프라를 위한)을 제공합니다. 이 기사에서는 클라우드, 클라우드의 아키텍처 및 이러한 동적이고 확장 가능한 컴퓨팅 및 저장소 플랫폼을 개발하는 데 사용된 오픈 소스 기술에 대해 자세히 설명합니다.

 필자소개
M. Tim Jones는 임베디드 펌웨어 아키텍트이자 Artificial Intelligence: A Systems Approach, GNU/Linux Application Programming(현재 2판), AI Application Programming(현재 2판) 및 BSD Sockets Programming from a Multilanguage Perspective의 저자이다. 정지 위성을 위한 커널 개발에서 시작해 임베디드 시스템 아키텍처와 네트워크 프로토콜 개발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에 대한 공학 지식을 가지고 있다. 콜로라도주 롱몬트 소재의 Emulex Corp.에서 컨설턴트 엔지니어로 활약하고 있다.


 
 아래는 최근에 읽은 클라우드 관련 서적입니다. 좀 오래된 내용들이 포함되어 있긴하지만 클라우드 컴퓨팅이 어느정도까지 왔는지를 알아볼 수 있습니다.
클라우드의 충격
카테고리 컴퓨터/IT
지은이 시로타 마코토 (제이펍, 2009년)
상세보기


 IBM DeveloperWorks에 올라온 클라우드 컴퓨팅 관련 연재인 "클라우드에 연결하기 1~3"을 소개하려합니다.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컴퓨팅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는 글입니다. 썬에서 다운로드받은 클라우드 관련 백서와 함께 보고 있는 중입니다. 음... 썬에서 받은 문서가 개념 잡기엔 더 좋은것 같네요.

원문보러가기 : 클라우드에 연결하기 Part 1, 클라우드에 연결하기 Part 2, 클라우드에 연결하기 Part 3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대해 다루는 세 편의 기사로 구성된 시리즈의 마지막 기사인 이 기사에서는 클라우드 컴퓨팅의 통제와 보안에 대해 설명합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