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AIX 서버의 성능 문제에 대해서 자료를 만들고 있는데 nmonanalyser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AIX 전문가가 아닌 제게는 그래프까지 만들어주는 고마운 존재이죠. 오늘 nmonanalyser를 쓰려다가 갑자기 nmonanalyser도 버전업이 되지 않았을까하는 생각에 홈페이지에 가보니 버전업이 되어있네요.(2009년 12월 16일자입니다.)
기존에 사용하던 버전이 3.3.A인데 3.3.E 버전이 올라와 있네요. 즉시 다운받아서 사용 중입니다. ^^
nmonanalyser 사용하시던 분들이라면 다운 받으세요.

nmonanalyser다운받으러 가기

간단한 사용법은 제가 예전에 작성한 글을 참고하세요.
2009/04/10 - [Operating System] - NMON, NMON Analyser를 이용한 시스템 성능 리포트 만들기

 Forcs homepage의 Q&A 게시판에서 찾은 내용입니다.

오즈 리포트 인쇄 화면/미리보기 화면 로딩중에 메모리가 부족해서 중지되는 현상이 발생할때의 대처법입니다. 아직 적용해보지는 않아서 잘 될지는 모르지만, 오즈 리포트를 제작한 곳의 답변이니 신뢰성이 있을거라 생각합니다.

안녕하세요 포시에스입니다.

아래 태그를 보고서 호출하는 부분에 넣어주세요..

[param name="connection.pageque" value="-10"]
[param name="connection.serverdmtype" value="FILE"]
[param name="connection.fetchtype" value="CONCURRENT"]
[param name="connection.clientdmtype" value="FILE"]

넣어주신후에 확인후 연락바랍니다.

수고하세요...

[부가내용]

* connection.pageque .
value = "정수값 default : -1"
"바인딩이 완료된 보고서 중 메모리에 올릴 페이지 숫자를 설정합니다. 지정된 숫자만큼만
메모리에 가지고 있으며 나머지는 페이지별로 파일에 저장하고 해당 페이지 호출시 메모리로
로드됩니다."

* connection.serverdmtype
value = "FILE/MEMORY default:MEMORY"
"오즈뷰어에서 오즈 서버에 보고서의 데이터 모듈을 요청할 때 오즈 서버가 데이터 모듈 생성
작업을 메모리를 이용할 것인지 파일을 이용할 것인지를 선택합니다. 대용량 데이터의 경우
파일을 이용하면 서버의 메모리 사용량을 줄일 수 있습니다."

* connection.fetchtype
value = "BATCH/CONCURRNET default:batch"
"오즈뷰어에서 오즈 서버에 보고서의 데이터 모듈을 요청할 때 오즈 서버가 데이터 모듈을 어떤 방식으로
처리할 지를 설정합니다. 이전 버전의 경우 오즈 서버는 데이터 소스로부터 데이터를 가져와서 데이터 바
인딩 작업을 완료 한 다음 뷰어로 데이터 모듈을 전송하는데 새로 추가된 CONCURRENT 모드에서는 데이
터 바인딩 작업과 데이터 모듈 전송 작업을 동시에 수행합니다."

* connection.clientdmtype
value = "NORMAL/MEMORY/FILE default : MEMORY"
"뷰어에서 데이터 모듈을 받아서 처리하는 방식을 설정합니다. 데이터 모듈 받는 작업과 보고서 바인딩 작
업을 하나의 스레드로 처리하는 기존 방식에 성능을 높이고 응답시간을 줄이기 위해 각 작업을 별도의 스
레드로 나누어 병렬 처리하는 방식을 추가 하였습니다. 또한 낮은 시스템 사양에서 안정적인 운영을 위해
데이터 모듈을 파일로 받는 모드를 지원합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