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 WWDC 2011에서 스티브 잡스가 소개한 iCloud라는 서비스가 사람들의 입에 오르내리고 있습니다. 이 iCloud라는 서비스의 뒤에는 현재 여러 업체에서 구축 및 운영중인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 기술이 적용되어 있지요.
 파이어폭스 북마크를 정리하던 중에 저장되어있던 웹 페이지 하나가 눈에 들어왔습니다. 제목은 "클라우드 환경에서 워크로드 조정하기"군요. 음... 아직 클라우드 기반의 서비스를 운영하지는 않아서 써먹을곳은 없지만 그래도 미리 알아두면 좋을거라 생각이 되네요... 그럼 행복한 6월 보내시길...


원문 보기

클라우드 환경에서 워크로드 조정하기

임계값 정책을 사용하여 워크로드 수요를 동적으로 조정하기

Judith Myerson, 시스템 엔지니어 겸 아키텍트

요약: 많은 기업과 정부기관에서는 클라우드 서비스에서 운영상의 가용성과 보안을 지속적으로 제공하기를 요구합니다. 이러한 요구를 실현하려면 클라우드 서비스에 애플리케이션을 테스트하고 프로덕션하기 위한 자원 관리 임계값 정책이 있어야 합니다. 이 기사에서는 임계값 정책의 개념과 이러한 정책이 클라우드 환경에서 워크로드 수요를 동적으로 조정하는 데 어떻게 도움이 되는지 설명합니다.



IT 개발 혹은 관리 운영을 하다보면 부하 Test를 위해서 data를 입력할 일이 생깁니다.
이런 작업을 위해서 보통은 script를 짜거나 저장 프로시져를 만들어놓고 필요할때 data를 입력하죠. 그런데 블로깅 중에 test data를 입력해주는 "SQL Data generator"를 소개하는 글을 발견했습니다.
블로그 : "달려라하니" (http://ihchoi.tistory.com/)

 원본 글을 보시려면 아래 링크를 클릭하시면 됩니다.
아직 사용해보지는 않았지만... 재밌어 보이는 툴입니다. 유료지만, 무료 15일 버전도 있네요.

Test Data Insert Tool

제작사의 해당 툴 웹 사이트
제작사 웹 사이트

 작년에 다녀왔던 "SQL Unplugged : 괴물이야기" 컨퍼런스에서 SQL Server에 대한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었고, 이후 운영중인 SQL Server를 좀더 잘 운영하려고 노력하게 되었습니다. 튜닝 공부를 위해 주말 과정을 듣기도 했고, 시중에 나와있는 책도 찾아보게 되었구요. 그래서일까요? 아래 화면을 보게 되었을때 참 반가웠습니다.

"올해에도 하루라는 시간이 아깝지 않을 컨퍼런스가 열리는구나!!" 고맙습니다. 수고하셨습니다.
자세한 후기는 나중에 정리해서 올리겠습니다.




아래 글 링크는 작년에 SQL Unplugged 첫번째 컨퍼런스 참석 후기입니다. 
2010/06/14 - [IT 기술/Database] - SQL Unplugged "괴물 이야기" 참석 후기


 IBM DeveloperWorks 한국어판 웹사이트에 올라온 번역 문서중에서 NFS 관련 문서가 있어서 소개합니다.
제목은 "네트워크 파일 시스템과 Linux"입니다.

원문 링크

요약: NFS(Network File System)는 1984년에 등장했지만 여전히 진화하면서 분산 파일 시스템에 대한 기초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오늘날 NFS는 pNFS 확장을 통해 네트워크에 분산된 파일에 대한 확장 가능한 액세스를 제공합니다. 분산 파일 시스템 뒤에 숨겨진 개념에 대해 살펴보고 특히 NFS의 최근 발전사항에 대해 알아봅니다.

오랫만에 알게된 PHP 컨퍼런스 정보가 있어서 알려드립니다.
Zend, CDNetworks, 큐브리드, 마이크로소프트웨어, 위키북스, XpressEngine 후원이네요.

바로 가기 : PHP Fest 2011  “내일을 위한 PHP”

PHP Fest 2011

“내일을 위한 PHP”

2011년 5월 28일 오후 12시 30분

숙명여자대학교 명신관 7층

주최/주관 : PHPKorea와 숙명여자대학교 SOLUX

후원 :
Zend,CDNetworks,큐브리드,마이크로소프트웨어,위키북스,XpressEngine

대상 : PHP와 웹서비스 개발이 관심있는 누구나

참가인원 : 선착순 250명

참가비 : 무료


참 오랫만에 IBM DeveloperWorks의 글을 소개하려한다. "Linux로 상용 하드웨어를 재활용하기 위한 세 가지 방법"이라는 글인데, 읽어보면 한번쯤은 생각해봤던 내용이라는 생각이 들것이다. 가벼운 마음으로 한번 읽어보자.

아래는 글의 서문을 발췌한 것이다. 자세한 내용은 원문을 보자. 원문 보기(클릭)

Linux 세계의 연금술

Linux 권위자인 H. Peter Anvin은 최근에 오래된 시스템의 용도를 파일 서버로 변경했다. 그는 잦은 보안 업데이트, RPM 기반 패키지 관리 시스템 및 서버에 적절하게 패키지로 제공되는 소프트웨어의 수를 근거로 하여 Fedora를 운영 체제로 선택했다. Anvin의 시스템은 RAID(Redundant Array of Independent Disks) 6 구성에서 9TB의 새 하드 디스크를 호스트한다. 책상 아래에 사용하지 않은 채 방치하고 있었던 이전의 개발 시스템이 지금은 매우 중요한 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이 시스템이 아주 오래된 것은 아니지만, 컴퓨터 하드웨어를 사용하지 않고 있었다는 것은 대체로 뭔가 문제가 있음을 나타낸다. 이런 시스템은 오늘날과 같은 빠른 발전과 변화의 추세를 따라잡기에는 대체로 너무 느리고 이를 지원하기에 너무 오래된 것은 물론이고, 특히 보증 기간이 지난 경우 기술적으로 안정적이지 않다. 하지만, 시스템이 오래되었다고 그냥 버리기에는 너무 아깝다. 많은 회사와 가정에서는 이렇게 오래된 시스템을 학교나 도서관에 기증하여 더 오래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지만, 이런 시스템을 기증받아 사용하는 사람들 역시 그런 구형 시스템으로 뭘 할 수 있을지 몰라서 결국 하드웨어가 재활용 센터로 넘어가는 운명에 처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자원 낭비일 뿐 아니라, 때로는 재활용 컴퓨터가 소위 제3세계 국가의 쓰레기 매립장이나 소각로로 보내지는 바람에, 전자 폐기물이라는 새로운 문제를 만들어낸다(자세한 내용은 참고자료 참조).

본 기사에서는 Linux 운영 체제를 사용하여 오래되긴 했지만 작동하는 컴퓨터 시스템의 용도를 변경함으로써, 구식 시스템에 서버, 미디어 플레이어 또는 씬 클라이언트로서의 새로운 생명을 불어넣는 방법을 설명한다.


 Tibero는 Oracle과 유사한 구조로 구현되어있기에, Oracle처럼 Redo log file과 Archive log file이 존재한다. 당연히 Archive log mode로 설정을 해줘야 된다.


1. Tibero RDBMS의 설정 파일에 Archive log file이 저장될 디렉토리를 지정해준다.
$TB_HOME/config/DB명.tip파일에 디렉토리 설정을 추가해준다.
LOG_ARCHIVE_DEST="/data/tb_archive_log"


2. 운영중인 Tibero를 종료시킨 뒤 mount mode로 기동한다.
# tbboot mount

3. Achive log mode로 변경한다.
# tbsql sys

SQL>  alter database archivelog;


4. DBMS를 재기동한 뒤 정상적으로 Archive log file이 생성되는지 확인한다.
# tbdown immediate

# tbboot

# tbsql sys

SQL> alter system switch logfile;
 DB로 운영중인 AIX 서버의 Filesystem 용량을 변경해줘야할때가 있다. DBMS Patch 혹은 AIX Patch나 Upgrade 작업을 할때 바이너리 압축을 풀 공간이 부족하거나... 뭐 이런저런 이유로 말이다.
 AIX 장비를 운영중인 DBA라면 알고 있겠지만, AIX는 Volume Group으로 Disk를 묶어서 이를 필요한 마운트 지점에 올려준다. 표현이 부드럽지 않은면이 있지만, 뭐 잘 알아들으시리라 믿으며... (나중에 내가 이해 못하지는 않겠지. ㅋㅋㅋ) 암튼 그래서 이 방식의 장점은 운영중에도 용량을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다. Linux 장비에서도 LVM을 사용해서 파일시스템을 구성하면 이런식으로 쓸 수 있다고 한다. 아직까지 시도해보지는 않아서 Linux에서 LVM이 쓸만한지는 모르겠다.


[TEST1:/] su - root (엔터)   <= 당연한 얘기겠지만, root 계정으로 작업을 해야한다. 현재 로그인한 사용자 id를 모르겠다면 id라고 입력하면 현재 로그인한 사용자의 정보를 보여준다.

[TEST1:/] smitty jfs2 (엔터)  <= 이렇게 하면 관리자 화면이 뜹니다.
아래의 메뉴 중에서 위에서 세번째에 있는 메뉴가 바로 File System을 변경하는 메뉴입니다. 여기로 커서를 옮기고 엔터키를 누르면 해당 메뉴로 들어갑니다.
  Add an Enhanced Journaled File System
  Add an Enhanced Journaled File System on a Previously Defined Logical Volume
  Change / Show Characteristics of an Enhanced Journaled File System
  Remove an Enhanced Journaled File System
  Manage Quotas for an Enhanced Journaled File System
  Defragment an Enhanced Journaled File System
  List Snapshots for an Enhanced Journaled File System
  Create Snapshot for an Enhanced Journaled File System
  Mount Snapshot for an Enhanced Journaled File System
  Remove Snapshot for an Enhanced Journaled File System
  Unmount Snapshot for an Enhanced Journaled File System
  Change Snapshot for an Enhanced Journaled File System
  Rollback an Enhanced Journaled File System to a Snapshot


정상적으로 세번째 메뉴로 커서를 옮기고 엔터키를 눌렀으면 아래와 같은 선택 메뉴가 나온다. 어떤 파일시스템을 수정할것인지 선택하는 메뉴이다. 여기서 원하는 파일시스템으로 커서를 옮기고 마찬가지로 엔터키를 눌러주면 해당 파일시스템의 정보를 수정하는 화면으로 이동한다.
                                                                         File System Name                            
                                                                                                                          
                                             Move cursor to desired item and press Enter.                            
                                                                                                                         
                                               /                                                                     
                                               /home                                                                 
                                               /usr                                                                 
                                               /var                                                                  
                                               /tmp                                                                  
                                               /opt                                                                  
                                               /var/adm/ras/platform 

용량 수정을 할때 미리 단위(KB, MB, GB)를 설정해주고 크기를 수정해준다. 5 GB 정도 늘릴건데 단위를 KB로 해놓으면 숫자키 입력하기 바쁘지 않겠는가. 단위 선택을 잊지 말자.
단위 선택은 "Unit Size" 항목이며, 용량 설정은 "Number of units"이다.

                                                           Change / Show Characteristics of an Enhanced Journaled File System

Type or select values in entry fields.
Press Enter AFTER making all desired changes.
 
                                                        [Entry Fields]
  File system name                                    /tmp
  NEW mount point                                    [/tmp]
  SIZE of file system
          Unit Size                                   512bytes                                                                                                                       +
          Number of units                            [2097152]                                                                                                                        #
  Mount GROUP                                        []
  Mount AUTOMATICALLY at system restart?              yes                                                                                                                            +
  PERMISSIONS                                         read/write                                                                                                                     +
  Mount OPTIONS                                      []                                                                                                                              +
  Start Disk Accounting?                              no                                                                                                                             +
  Block Size (bytes)                                  4096
  Inline Log?                                         no
  Inline Log size (MBytes)                           [0]                                                                                                                              #
  Extended Attribute Format                          [v1]
  ENABLE Quota Management?                            no                                                                                                                             +
  Allow Small Inode Extents?                          no                                                                                                                             +

 입력이 다 끝나면 변경된 내용을 적용하기 위한 단축키(ESC + 4)를 눌러준다. 그러면 적용이 된다.
ESC + 4 : 용량 설정 후 적용할때 단축키

 그리고 smitty에서 빠져나가는 단축키(ESC + 0)을 눌러준다. 평소에는 F10을 눌러서 나갈수도 있는것 같은데 AIX 엔지니어가 이 단축키를 알려줬다. 아마... 뭔가 이유가 있겠지??? 이유를 알게되면 내용을 추가하겠다. 그럼 이만~~~
ESC + 0 : smitty에서 빠져나갈때 단축키

 Tibero 4 SP1을 사용한지도 벌써 일년이 넘어가고 있다. 그동안 안정화에 꽤 많은 노력을 기울였고, 생각보다 오래 걸렸지만, Tibero를 그럭저럭 사용하고 있다. 문제는 아직까지는 초기에 Tibero 영업에서 얘기한 "Oracle 10g 기준으로 거의 모든(?) 기능이 동일하다"는 얘기에는 많이 모자란 모습이라는 것이다.

 그동안 Tibero에 대해서 몇번 얘기했었는데, 이번에 얘기할 것은 Oracle의 exp, imp에 해당하는 tbexport와 tbimport에 대한 얘기이다. tbexport는 Oracle의 exp와 같이 Online 상태의 DB에서 data를 backup할때 사용하는

 무엇이 문제인가!!
 Oracle에서 export한 덤프 파일을 import할 때에 원본 DB에는 A라는 Tablespace가 존재하지만, import하는 DB에는 A라는 Tablespace가 없다고 가정해보자. 어떻게 되는가. 아래의 이미지를 보면 쉽게 이해가 가지 않을까?
두 DB에 생성된 Tablespace 현황

  DB-1의 ERP라는 유저를 export한 뒤 DB-2의 ERP라는 유저에 import한다고 할 때, 두 DB에 생성된 Tablespace가 서로 다르다면, Oracle에서는 DB-1에서 export한 Table들이 원래 생성되었던 A라는 Tablespace가 DB-2에 없다면 import하는 계정의 default tablespace인 B에 Table을 생성하죠. Tibero에서도 이렇게 될 줄 알았습니다.


 그런데... Tibero에서는 import하는 DB에 원래 DB-1에서 Table이 생성될때 사용했던 Tablespace와 동일한 이름의 Tablespace가 없으면 에러를 발생시키네요. ignore=y 옵션을 주고 시작하면 해당 오류를 그냥 통과하고 나머지를 import합니다만 오류가 발생한 Table은 수작업으로 생성해야 합니다.
 UNIX 혹은 Linux 서버를 운영하는 관리자라면 객관적인, 혹은 보고서 작성을 위한 성능 분석 결과가 필요하게 된다. 현재 운영체제 성능 분석 및 모니터링을 위한 도구들이 꽤 많이 나와있다. 하지만 그 중에서도 공짜로 사용할 수 있는 툴들에 대해서 얘기해보고자 한다. kSar와 nmon analyser라는 툴을 들어보셨을거다. 각각 sar와 nmon으로 만들어진 log 파일을 분석하는 툴이다. 자세히 얘기해보자.

1. kSar
 지인의 소개로 알게된 kSar는 sar라는 툴로 저장한 서버의 성능 관련 data를 분석하기 위한 GUI 툴이다. 소스포지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으며, 링크는 http://sourceforge.net/projects/ksar이다. BSD 라이선스 정책을 따르며, 현재 최신 버전은 5.0.6이다.
 실행시키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뜬다.



2. nmon analyser
 nmon analyser는 nmon으로 저장한 서버 성능 데이타를 분석하기 위한 툴이다. 마이크로소프트 엑셀에서 해당 엑셀 파일을 열어서 nmon log file을 분석하는 방식으로 되어있다. 그래프로 보기 좋게 분석되어 나와서 나는 주로 nmon과 nmon analyser를 사용한다. nmon과 nmon analyser는 무료로 사용할 수 있기는 하지만 엑셀이라는 유료 소프트웨어를 이용해야만 결과를 알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아마... 어딘가에 엑셀외의 다른 도구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을지도 모르지만... 아직 찾지 못 했다.

 nmon analyser는 이전에도 소개한 적이 있다. 아래의 글들을 보면 nmon analyser가 어떤 프로그램인지 알 수 있을것이다.
2009/04/10 - [Operating System] - NMON, NMON Analyser를 이용한 시스템 성능 리포트 만들기
2011/04/07 - [Operating System] - nmon analyser 3.3.f가 나왔네요.




+ Recent posts